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대 데 맞춤법 – 🤓’데’와 ‘대’ 구별법, 이 영상으로 끝내세요! feat. 꿀팁제공 | 헷갈리는 맞춤법, 우리말 나들이, 한국어능력시험 | 대로, 데대, ㄴ데“?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ppa.baannapleangthai.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ppa.baannapleangthai.com/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모던걸 교양살롱 Modern girl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36,029회 및 좋아요 779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데’는 화자가 직접 경험한 사실을 나중에 보고하듯이 말할 때 쓰이는 어미로서 “… 더라”와 같은 의미를 나타내는 데 비해 ‘-대’는 화자가 직접 경험한 사실이 아니라 남이 말한 내용을 간접적으로 전달할 때 쓰인다.
Table of Contents
대 데 맞춤법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데’와 ‘대’ 구별법, 이 영상으로 끝내세요! feat. 꿀팁제공 | 헷갈리는 맞춤법, 우리말 나들이, 한국어능력시험 | 대로, 데대, ㄴ데 – 대 데 맞춤법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데대 #맞춤법 #맞춤법꿀팁 #우리말나들이 #교양 #대로 #한국어능력시험
오늘은 많이 헷갈려하시는 ‘데’와 ‘대’의 구별법을 가져왔습니다.
기본에서 심화까지 다 익히셨다면 이제 ‘데’, ‘대’는 정복하신 겁니다 🙂
다음에도 쉽게 맞춤법 공부할 수 있는 콘텐츠 가져오겠습니다.
좋아요와 구독 누르시고, 오늘도 교양 있는 하루 보내세요!
1:08 ㅔ와 ㅐ의 발음 구별
1:54 데, 대 구별 ★기본★
3:43 데, 대 구별 ♥심화♥
5: 56 요약
대 데 맞춤법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데대 차이 비교! 맞춤법 ~데/~대 확실히 공부해요! – 네이버 블로그
데대 차이 비교! 맞춤법 ~데/~대 확실히 공부해요! · < '~데'와 '~대' 구분하는 방법 > · · [1] ~데 · 1. ‘곳’이나 ‘장소’의 뜻을 나타내는 말. · · 2. ‘일’ …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8/13/2021
View: 1371
온라인가나다 상세보기(데/대 맞춤법 관련 질문 드립니다)
※ ‘-대’는 직접 경험한 사실이 아니라 남이 말한 내용을 간접적으로 전달할 때 쓰이고, ‘-데’는 화자가 직접 경험한 사실을 나중에 보고하듯이 말할 때 쓰이는 말로 ‘-더라 …
Source: www.korean.go.kr
Date Published: 8/25/2021
View: 3961
‘-대’와 ‘-데’의 구별 – 나무위키:대문
~되로 ‘되로 주고 말로 받는다’라는 속담이 있긴 하지만 위의 대로, 데로와 같은 뜻은 전혀 없다. · ~되 ‘~대’와 ‘~데’도 ‘~되’로 틀리게 적는 경우가 많다 …
Source: namu.wiki
Date Published: 7/2/2022
View: 4336
‘-대’와 ‘-데’의 차이 – 한국일보
‘-대’와 ‘-데’의 차이에 대한 질문이 국립국어원 국어생활종합상담실에 들어 온 질문 중에 상당히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런데 ‘-대’와 ‘-데’를 …
Source: www.hankookilbo.com
Date Published: 6/6/2021
View: 189
‘데’와 ‘대’를 왜 틀린대? < 신지영의 언어탐험 < 토프 ... - 톱클래스
표준국어대사전의 친절한 설명대로, ‘-데’는 자신이 과거에 직접 경험한 사실을 전할 때 쓰이고, ‘-대’는 남이 말한 내용을 간접적으로 전할 때 쓰인다.
Source: topclass.chosun.com
Date Published: 3/4/2021
View: 1017
헷갈리는 맞춤법 / 데 vs 대 / 데와 대의 차이 – Turning paper
안녕하세요! 맞춤법을 같이 배워보는 시간입니다! 오늘은 너무나도 많이 헷갈리는 ‘데와 대’의 차이점을 알아볼게요! 데 vs 대 [단어의 사전적 의미] …
Source: thrningpaper.tistory.com
Date Published: 3/22/2021
View: 1942
대 데 차이 구분하기 팁 – 나라온의 편한 정보
대 데 차이 구분하기 팁 · ‘~대’의 의미 · 1) ‘다고 해’가 줄어든 말이다. 직접 경험한 사실이 아닌, 남이 말한 내용을 간접적으로 전달할 때 사용된다. · 2) 어떤 사실에 …
Source: naraon.tistory.com
Date Published: 10/16/2022
View: 6768
‘대’와 ‘데’ 구분하기, 한글 맞춤법 – 토끼는 개발자
1. ‘대’와 ‘데’ 구분하기 ‘-대’와 ‘-데’ 쓰임에 대해서 이해하면 헷갈리지 않고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대 : 남이 말한 내용을 전달할 때 …
Source: lol-y.com
Date Published: 9/23/2021
View: 7947
‘-데’, ‘-대’, 예쁘데, 예쁘대, 먹데, 좋은데, 잘생겼대? 맞춤법
-대: ‘-다고 해’가 줄어든 말로서, 직접 경험한 사실이 아니라 남이 말 한 내용을 간접적으로 전달할 때 쓰인다. 공무원 두문자 암기. 스마트폰 공무원 …
Source: adipo.tistory.com
Date Published: 6/11/2022
View: 4427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대 데 맞춤법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데’와 ‘대’ 구별법, 이 영상으로 끝내세요! feat. 꿀팁제공 | 헷갈리는 맞춤법, 우리말 나들이, 한국어능력시험 | 대로, 데대, ㄴ데.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대 데 맞춤법
- Author: 모던걸 교양살롱 Modern girl
- Views: 조회수 36,029회
- Likes: 좋아요 779개
- Date Published: 2020. 8. 25.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i8Ei8sMOTRA
데대 차이 비교! 맞춤법 ~데/~대 확실히 공부해요!
< '~데'와 '~대' 구분하는 방법 >
[1] ~데1. ‘곳’이나 ‘장소’의 뜻을 나타내는 말.
예) 지금 가는 데 가 어디야?
예) 의지할 데 없는 신세
예) 그가 사는 데 는 여기서 멀다.
2. ‘일’이나 ‘것’의 뜻을 나타내는 말.
예) 사람을 돕는 데 에 애 어린이 어디 있겠습니까?
예) 그 책을 다 읽는 데 삼 일이 걸렸어.
3. ‘경우’의 뜻을 나타내는 말.
예) 머리 아픈 데 먹는 약
예) 이 그릇은 귀한 거라 손님을 대접하는 데 나 쓴다.
4. 과거 어느 때에 직접 경험하여 알게 된 사실을
현재의 말하는 장면에 그대로 옮겨 와서 말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예) 고향은 하나도 변하지 않았 데 .
예) 그 사람 참 말 잘하 데 .
[2] ~대1. ‘-다고 해’가 줄어든 말.
예) 민수가 너 이쁘 대 .
예) 사람이 되게 좋 대 .
예) 영희는 올 수 있 대 ?
2. 어떤 사실을 주어진 것으로 치고 그 사실에 대한 의문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놀라거나 못마땅하게 여기는 뜻이 섞여 있다.
예) 왜 이렇게 일이 많 대 ?
예) 신랑이 어쩜 이렇게 잘생겼 대 ?
~데 : 직접 경험한 사실을 말할 때 or 장소를 의미할 때 ~대 : 남이 말한 내용을 간접적으로 전달할 때
* 잘못된 사용의 예
◆ 여전히 예전 맛 그대로 대 (X)
→ 여전히 예전 맛 그대로 데 (O)
◆ 내가 가봤는 대 정말 좋더라 (X)
→ 내가 가봤는 데 정말 좋더라 (O)
◆ 저번에 갔던 대 가자 (X)
→ 저번에 갔던 데 가자 (O)
◆ 제 동생이 그 드라마 참 재미있 데 요 (X)
→ 제 동생이 그 드라마 참 재미있 대 요 (O)
◆ 민희는 설 연휴에 출근을 했 데 (X)
→ 민희는 설 연휴에 출근을 했 대 (O)
‘-대’와 ‘-데’의 차이
‘-대’와 ‘-데’의 차이에 대한 질문이 국립국어원 국어생활종합상담실에 들어 온 질문 중에 상당히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런데 ‘-대’와 ‘-데’를 구분하는 방법은 의외로 간단하다. ‘-다고 해’의 준말로 ‘-대’를 쓴 것이라는 점에 유의하면 ‘-대’와 ‘-데’를 구분하기가 쉬워진다.
‘-대’는 직접 경험한 사실이 아니라 남이 말한 내용을 간접적으로 전달할 때 쓰인다. “영희는 성격이 참 명랑하대(명랑하다고 해)”, “할머니께서는 내일 우리 집에 오신대(오신다고 해)”, “그이는 국수를 늘 두 그릇씩 먹는대(먹는다고 해)”, “그 영화는 컴퓨터 그래픽이 참 실감나게 잘되었대(잘되었다고 해)”, “그는 집에 있겠대(있겠다고 해)”와 같이 ‘-다고 해’로 교체해서 뜻이 통하는 문맥에 ‘-대’가 쓰인다.
이에 비해, ‘-데’는 말하는 사람이 직접 경험한 사실을 나중에 남에게 보고하듯이 옮겨 말할 때 쓰이는 말로 ‘-더라’와 같은 의미를 전달한다. “철수가 노래를 정말 잘하데(잘하더라)”, “그 친구는 집에 수족관이 있데(있더라)”, “신붓감이 아주 참하게 생겼데(생겼더라)”처럼 쓰인다.
이제 다음 두 예문 중 영화를 직접 본 사람이 한 말이 어떤 것인지 맞혀 보기 바란다.
“(1) 그 영화 참 재미있대.”, “(2) 그 영화 참 재미있데.”
(1)은 “그 영화 참 재미있다고 해”라는 뜻으로, 그 영화를 직접 보지 못하고 다른 사람에게 들은 대로 전하는 말이고, (2)는 “그 영화 참 재미있더라”라는 뜻으로, 그 영화를 직접 보고 한 말이므로, 답은 (2)이다.
김문오 국립국어원 어문연구과장
0 0 공유 카카오
페이스북
트위터
이메일
URL 기사저장
‘데’와 ‘대’를 왜 틀린대?
친구와 카카오톡으로 대화를 하고 있을 때의 일이었다.
“택배 3월 2일에 온데”
“대!!”
맞춤법에 관심이 많은 나와 달리 맞춤법에 별 관심이 없는 나의 친구는 ‘-대’를 써야 할 자리에 ‘-데’를 쓰는 경우가 많다. 그럴 때마다 ‘-대’를 써야 한다고 알려주곤 하지만, 최근엔 이런 경우가 내 친구만의 일이 아님을 알게 되었다. 유튜브, SNS, 인터넷 커뮤니티 등을 봐도 ‘-대’를 써야 할 자리에 ‘-데’를 쓴 경우가 너무나 많았다. ‘알고 있었데’, ‘카톡도 된데’와 같이 말이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대’와 ‘데’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대 [Ⅰ] 「어미」 ((형용사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겠-’ 뒤에 붙어)) 해할 자리에 쓰여, 어떤 사실을 주어진 것으로 치고 그 사실에 대한 의문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놀라거나 못마땅하게 여기는 뜻이 섞여 있다. [Ⅱ] ‘-다고 해’가 줄어든 말.
-데 「어미」 ((‘이다’의 어간, 용언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겠-’ 뒤에 붙어)) 해할 자리에 쓰여, 과거 어느 때에 직접 경험하여 알게 된 사실 을 현재의 말하는 장면에 그대로 옮겨 와서 말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 ‘-데’는 화자가 직접 경험한 사실을 나중에 보고하듯이 말할 때 쓰이는 말로 ‘-더라’와 같은 의미를 전달하는 데 비해, ‘-대’는 직접 경험한 사실이 아니라 남이 말한 내용을 간접적으로 전달할 때 쓰인다.
표준국어대사전의 친절한 설명대로, ‘-데’는 자신이 과거에 직접 경험한 사실을 전할 때 쓰이고, ‘-대’는 남이 말한 내용을 간접적으로 전할 때 쓰인다. 내 친구는 택배가 3월 2일에 도착한다는 소식을 택배사로부터 듣고 그것을 나에게 전달하고 있으므로, 남이 말한 내용을 간접적으로 전하는 상황이어서 “3월 2일에 온대(온다고 해)”라고 해야 한다.
‘-데’의 용례로는 “걔가 말을 아주 잘하데”를 들 수 있다. 나는 ‘-데’를 쓸 상황에 ‘-더라’를 주로 써서 어미에 ‘-데’를 쓰는 것이 어색하게 느껴졌다.
나에겐 너무 어색한 어미 ‘-데’. 왜 많은 사람들은 ‘-대’를 ‘-데’로 잘못 쓰고 있을까? 다른 맞춤법은 나도 많이 헷갈려서 그 어려움에 잘 공감하는데, ‘-대’가 어려운 이유는 이해할 수가 없어서 오랜 시간 고민을 해 보았다.
처음 떠오른 생각은 발음의 유사성이었다. 한국어에서 모음 ‘ㅐ’와 ‘ㅔ’는 발음상 잘 구별되지 않는다. 다들 한번쯤 “아이(ㅏ,ㅣ) 모음을 써요. 멍멍 개 할 때 ‘ㅐ’ 모음이요.”와 같이 말해 본 적이 있지 않은가? ‘-대’와 ‘-데’도 소리가 잘 구별되지 않아 ‘-대’를 쓸 자리에 ‘-데’를 쓴다고 생각하였다.
하지만 소리가 잘 구별되지 않아 표기가 헷갈릴 때, 왜 하필 ‘ㅔ’ 모음을 써서 ‘-데’라고 쓰는 걸까? 왜 어색한 ‘-데’를 쓰단 말인가. 아직 나의 궁금증이 해결되지 않았다.
고민을 하던 중, ‘-데’를 쓰는 사람들이 당당하게, 큰 고민 없이 ‘-데’를 쓴다는 것을 포착하게 되었다. ‘로서’와 ‘로써’, ‘되’와 ‘돼’ 등 발음이 비슷해서 표기에 혼란이 있는 경우에 사람들은 검색을 해서 그 쓰임을 확인하고, 올바른 표기를 사용하려고 하곤 한다.
혹은 잠시라도 고민을 한 후에 둘 중 한 표기를 선택한다. 하지만 내 주위에 ‘-데’를 자주 쓰는 사람들은 그게 너무나 당연하고 맞다는 듯이 ‘-데’를 쓰고 있었다. 이 모습을 보고 ‘-데’가 쓰이는 여러 문장이 떠올랐다.
“돈도 없 는데 붕어빵은 다음에 사자.” “얼 만데 ?” “3마리에 5000원이라고 써 있 던데 ” “헉 정말 비 싼데 !” “아 오늘 저녁에 아빠가 치킨 사 오신대. 얼른 집으로 가자.”
‘-ㄴ데’로 시야를 넓히니 어미가 ‘데’로 끝나는 많은 문장이 보였다. 어미 ‘-데’가 쓰인 표현은 나에게 낯설지만, ‘-ㄴ데’가 쓰인 표현은 너무나 일상적인 표현이었다. 연결어미 혹은 종결어미로 쓰이는 ‘-ㄴ데’에 익숙한 많은 사람들이 ‘-대’를 쓸 자리에 ‘-데’를 쓰는 것이었다.
이제 ‘-데’를 사용하는 이유를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어미 ‘-대’보다 ‘-ㄴ데’의 쓰임이 더 빈번해서 /데/라는 형태에 익숙해진 사람들이 ‘-대’를 쓸 자리에 ‘-데’를 쓰고 만 것이다. 하지만 ‘-대’를 쓸 자리에 ‘-데’를 쓰면 의미가 많이 달라져 소통의 오류를 낳기 때문에 맞춤법에 맞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헷갈리는 맞춤법
728×90
안녕하세요!
맞춤법을 같이 배워보는 시간입니다!
오늘은 너무나도 많이 헷갈리는
‘데와 대’의 차이점을 알아볼게요!
데 vs 대
[단어의 사전적 의미]출처:네이버 사전 검색 결과
위를 보시면
‘-데’는 자신이 직접 경험한
사실을 말하는 것이고,
‘-대’는 다른 사람에게 들었거나,
이미 알고 있는 사실을
옮겨 전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볼까요?
1. 옆집 할머니 음식이 너무나 맛있데~
옆집 할머니 음식이 너무나 맛있대~
둘 다 맞는 문장이지만, 뜻이 다르답니다.
‘맛있데~’는
자신이 직접 음식을 먹어보고
‘할머니 음식 맛있더라’
라는 뜻이고,
‘맛있대’는
다른 사람이 음식을 먹고
그 사람에게 들은 사실을
이야기하는 것이죠.
‘할머니 음식 맛있다고 하더라’
라는 뜻이죠.
2. 그 놀이공원 정말 재밌던데!
그 놀이공원 정말 재밌대!
‘-데’는 자신이 경험한 뒤에 말한 것이므로,
과거형으로 사용해야
자연스럽죠.
‘-대’는 들은 시기가 명확하지 않으므로
과거형으로 사용하지 않아도
자연스러운 걸 알 수 있습니다.
[구별하는 쉬운 방법]뜻을 해석하며 구별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지만,
더 쉬운 방법은
‘-데’ →’~더라’,
‘-대’ →’~다고 해’
이렇게 바꿔서
넣어보면 쉽습니다.
예를 들어볼까요?
1. 정민이가 요리를 그렇게 잘한(대 vs 데)
여기서는 ‘잘한더라’보다는
‘잘한다고 해’가 더 자연스럽죠?
그래서 ‘잘한대’가 맞습니다.
그러나 ‘잘하더라’라고 의미를
바꿔 쓸 수는 있겠죠?
2. 내가 들어봤는데 그 친구 진짜 노래 잘하(대 vs 데)
‘잘하더라’가 더 자연스럽죠?
여기서는 내가 직접 경험해서
얻은 사실을 비롯해서 말하기 때문에
‘잘하데’가 맞습니다.!!
[다른 경우]1. 의문문의 종결 어미로
헷갈릴 때
‘대’를 쓰면 됩니다.
예) 영희도 이 파티에 온대?(데x)
어쩜 그리 인물이 잘생겼대?(데x)
자신이 직접 경험한 일에 대한 사실에
의문을 가지면 이상하겠죠 ㅋㅋ?
2. 문장을 연결시킬 때,
그리고 의존 명사로는 대부분
‘데’가 쓰입니다.
예) 그 친구는 힘들었다. 그런데 항상 웃음을 잃지 않았다.(그런대 x)
사람 많은 그런 데는 좀 불편해.(대 x)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728×90
대 데 차이 구분하기 팁
대 데 차이 구분하기 팁
“그 친구 오늘 바쁘대”
“그 친구 오늘 바빠보이데”
두 문장의 차이점을 알 수 있으신가요? 대와 데는 모양이 비슷하지만 다른 뜻을 가진 종결어미입니다. 조금의 차이로 문장의 뜻이 완전히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서 사용하셔야 합니다.
※ 대와 데의 차이를 구분해서 사용하는 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대
‘~대’의 의미 1) ‘다고 해’가 줄어든 말이다. 직접 경험한 사실이 아닌, 남이 말한 내용을 간접적으로 전달할 때 사용된다.
2) 어떤 사실에 대한 의문을 나타나는 종결어미이다. 놀라거나 못마땅하게 여기는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 즉, 다른사람이 말한 내용을 또 다른사람에게 전할 때 사용됩니다. 또한, 어떤 사실에 대한 의문을 표시할 때도 사용됩니다.
‘~대’의 예문 1) 그 사람은 결국 해냈대 영미가 어제 직접 요리했대 철수가 오늘 결석했대
2) 오늘 날씨가 왜 이렇게 춥대? 그럼 일찍 퇴근해도 된대? 부장님 오늘 왜 저런대?
~데
‘~데’의 의미 1) 직접 경험한 사실을 나중에 보고하듯이 쓰이는 말이다.
▲ 다른 사람에게 직접 경험한 이야기를 얘기할 때 사용되는데, 보통 구어체에서 많이 쓰입니다.
‘~데’의 예문 1) 그 개그맨 꽤 웃기데. 철수 어제 피아노 정말 잘치데. 그 사람 말 진짜 잘하데
대 그리고 데
1. ‘~대’ 의 자리에 ‘다고 해’를 넣어서 의미를 확인합니다. 2. ‘~데’ 의 자리에 ‘~더라’를 넣어서 의미를 확인합니다. 3. 대와 데의 준말을 넣어 차이를 구분할 수 있습니다.
‘대’와 ‘데’ 구분하기, 한글 맞춤법
1. ‘대’와 ‘데’ 구분하기
‘-대’와 ‘-데’ 쓰임에 대해서 이해하면 헷갈리지 않고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대 : 남이 말한 내용을 전달할 때
~다고 해
~라고 해
~했다고 해
2) -데 : 직접 경험한 것을 전달할 때
~더라
~다. ~그런데
2. ‘대’와 ‘데’ 예시
1) 대
– (내가 본건 아니고)계단에서 강아지를 봤대.
– (내가 본건 아닌데)공연이 멋있었대.
2) 데
– 내가 계단으로 올라가는데, 강아지가 있더라.
– (내가 느끼기에) 하늘이 멋있던데?
*위 내용은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의 자료를 참고했습니다.
‘-데’, ‘-대’, 예쁘데, 예쁘대, 먹데, 좋은데, 잘생겼대? 맞춤법
반응형
‘-데’와 ‘-대’의 구분: ‘-데’는 과거에 직접 경험한 내용임을 표시. ‘-대’는 남의 말을 전달.
(가) 어제 보니까 혜정이가 참 예쁘 데 . / 사진을 보니 옛날에는 참 예뻤겠 데 . <형용사>
그 아이가 밥을 잘 먹 데 . / 철수가 벌써 제대했 데 . <동사>
곁에서 보니 참 훌륭한 신랑감이 데 . <서술격조사 ‘이다’> ※ 뜻: “-더라”
신부가 그렇게 예쁘 데 ? / 그 사람 키가 크 데 ?
밖에 누가 왔 데 ? / 얼마나 되 데 ? ※ 뜻: “-던가?”
(나) 사람들이 그러는데 진옥이가 예쁘 대 (예뻤대/예쁘겠대). <형용사> ※ ‘대’는 “-다(고) 해”가 줄어 된 말임.
진옥이가 결혼 한대 (결혼 했대 /결혼하 겠대 ). / 진옥이는 추리소설만 읽 는대 (읽 었대 /읽 겠대 ). <동사>
진옥이가 학생회장 이래 (학생회장이 었대 ). <서술격조사 ‘이다’> ※ ‘이다’ 뒤에서는 ‘-대’가 ‘-래’로 바뀜.
(다) 오늘 날씨 참 시원 한데 . / 오늘은 기분이 참 좋 은데 . <형용사> ※ ‘-ㄴ데’는 스스로 감탄하는 투로 넌지시 상대방의 반응을 묻기도 함.
두 사람이 아주 잘 어울리 는데 . <동사> ※ “두 사람이 아주 잘 어울리 데 .”
철수가 아니라 진옥이가 학생회장 인데 . <서술격조사 ‘이다’>
(라)′ 결혼식장에는 혜정이 신랑도 왔 던데 (←‘-았더-’+‘-ㄴ데’).
혜정이 부모는 벌써 왔 는데 ((←‘-았느-’+‘-ㄴ데’).
결혼식장에는 혜정이 신랑도 왔겠 는데 (←‘-겠느-’+‘-ㄴ데’).
※ ‘-ㄴ데’와 ‘-ㄴ대’의 구별 방법: 앞말이 형용사이면 ‘-ㄴ데’이고(동사 어간 뒤에는 ‘ㄴ’ 없이 바로 ‘-데’가 붙음), 앞말이 동사이면 ‘-ㄴ대’이다(‘-ㄴ다’가 동사 어간 뒤에 붙는 경우 참조). 참신한데(형용사 ‘참신하-’+‘-ㄴ데’), 결혼한대(동사 ‘결혼하-’+‘-ㄴ대’)
※ ‘-던-’ 뒤에는 ‘데’만 올 수 있고 ‘대’는 올 수 없다(‘-던다’가 불가능하기 때문임). 따라서 ‘-던데’란 말은 가능해도 ‘-던대’란 말은 불가능하다.
Q 다음 문장에서 밑줄 친 단어의 쓰임이 올바른 것은?
① 그 친구는 왜 그렇게 잘 생겼 데 ?
② 우리는 매일 숙제가 왜 이리 많 데 ?
③ 어제 보니 네 친구 공부 열심히 하 데 .
④ 친구들이 전해주길 그 영화가 아주 재미있데 .
반응형
【해설】 정답 ③
한글맞춤법
③ ‘-데’는 화자가 직접 경험한 사실을 나중에 보고하듯이 말할 때 쓰이는 말로 ‘-더라’와 같은 의미를 전달하는 데 쓰인다.
‘-대’는 직접 경험한 사실이 아니라 남이 말한 내용을 간접적으로 전달할 때 쓰인다.
① 생겼데? → 잘생겼대?
-대: 어떤 사실을 주어진 것으로 치고 그 사실에 대한 의문을 나타내 는 종결 어미. 놀라거나 못마땅하게 여기는 뜻이 섞여 있다.
② 많데? → 많대?
-대: 어떤 사실을 주어진 것으로 치고 그 사실에 대한 의문을 나타내 는 종결 어미. 놀라거나 못마땅하게 여기는 뜻이 섞여 있다.
④ 재미있데. → 재미있대.
-대: ‘-다고 해’가 줄어든 말로서, 직접 경험한 사실이 아니라 남이 말 한 내용을 간접적으로 전달할 때 쓰인다.
공무원 두문자 암기
스마트폰 공무원 교재
✽ 책 구매 없이 PDF 제공 가능
✽ [email protected] 문의
반응형
키워드에 대한 정보 대 데 맞춤법
다음은 Bing에서 대 데 맞춤법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데’와 ‘대’ 구별법, 이 영상으로 끝내세요! feat. 꿀팁제공 | 헷갈리는 맞춤법, 우리말 나들이, 한국어능력시험 | 대로, 데대, ㄴ데
- 데대
- 교양
- 맞춤법
- 우리말나들이
- 한국어능력시험
- 꿀팁
🤓’데’와 #’대’ #구별법, #이 #영상으로 #끝내세요! #feat. #꿀팁제공 #| #헷갈리는 #맞춤법, #우리말 #나들이, #한국어능력시험 #| #대로, #데대, #ㄴ데
YouTube에서 대 데 맞춤법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데’와 ‘대’ 구별법, 이 영상으로 끝내세요! feat. 꿀팁제공 | 헷갈리는 맞춤법, 우리말 나들이, 한국어능력시험 | 대로, 데대, ㄴ데 | 대 데 맞춤법,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