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불면증 간호 진단 – 폐렴 간호진단 Nursing diagnosis for pneumonia [ENG sub]“?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ppa.baannapleangthai.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ppa.baannapleangthai.com/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널스프렌드 Nursefriend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954회 및 좋아요 31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불면증 간호 진단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폐렴 간호진단 Nursing diagnosis for pneumonia [ENG sub] – 불면증 간호 진단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폐렴 간호진단 6가지와 그 이유! 케이스에 잘 쓰이는 ‘간호진단 진술문(~와 관련된~~)’ 포함했어요 🙂
참고로 이 영상은 ‘간호진단’에 중점을 두고 있어서 케이스 스터디, 간호진단, 간호과정 작성에 도움이 되며 ‘간호학생 \u0026 공부하는 간호사’를 위한 영상입니다!
-간호진단, 간호과정, 케이스스터디를 배우고 있는 분
-폐렴 간호에 대해 학습하는 분
-폐렴 증상에 대해 전반적인 개념 정리가 필요하신 분
-폐렴 증상, 폐렴간호, 간호진단에 대해 잘 알고 있지만 리마인드, 생각 정리가 필요하신 분
-폐렴 간호진단에 따른 합리적 근거를 쓸 때 아이디어를 얻고 싶으신 분
-질병에 따른 알맞은 NANDA 간호진단에 대해 어떤 느낌인지 알고자 하는 분
-간호진단, 간호진단진술문 등을 영어로는 어떻게 말하는지 궁금하신 분(영어 자막 포함되어 있어요)
-간호진단 ‘비효과적 기도청결’과 ‘가스교환장애’의 차이점이 궁금하신 분(영상에 포함되어 있어요)
이런 경우라면 이 영상이 도움이 될거에요!
감사합니다.
구독과 좋아요는 큰 힘이 됩니다 ❤
널스프렌드 블로그도 한번 놀러오세요 😀 https://nursern.tistory.com
6 pneumonia nursing diagnoses and the reasons!
*Nursefriend blog: https://nursern.tistory.com
불면증 간호 진단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수면장애 – 네이버 블로그
ICD-10 : 불면증, 과다수면증, 수면-각성 주기장애, 수면중 보행장애, 수면중 경악장애, … 일차성 불면증 primary Insomnia … 2) 간호진단 …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12/29/2021
View: 6132
A+ 우울과 관련된 불면증(Insomnia) 간호과정 – 의약학 – 레포트샵
불면증(Insomnia) 간호과정입니다.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까지 자세하고 꼼꼼하게 정리했어요. 글자크기는 10으로 보통의 레포트에 쓰이는 글자 …
Source: www.reportshop.co.kr
Date Published: 5/9/2022
View: 3455
불면증 간호과정 레포트 – 해피캠퍼스
간호진단: 복합적요인과 관련된 불면증 간호계획 장기목표 하루 6~8시간의 규칙적인 수면 패턴을 가지게 될 것이다. 단기목표 2일 내로 수면을 방해 …
Source: www.happycampus.com
Date Published: 4/25/2022
View: 7919
정신간호학 – 수면장애
알코올은 입면에는 도움이 되나 수면유지와 REM수면을. 저해한다. 불면증. Page 25. 8. 간호 과정. • 4) 중재.
Source: contents.kocw.or.kr
Date Published: 10/4/2021
View: 9411
해피캠퍼스 모바일 검색
우울증(Depression) :불면증(Insomnia) 간호과정》 의미 있는 자료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1) “밤에 잠이 안와요. 잠이 들어도 깊게 못자구요. ” (2 .. .하(2017).
Source: 119.205.210.216
Date Published: 8/7/2021
View: 2431
불면증 | 질환백과 | 의료정보 | 건강정보 – 서울아산병원
정의. 불면증은 적절한 환경과 잠잘 수 있는 조건이 구비되었으나 2주 이상 잠을 이루지 못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원인. ① 생활습관 요인 · 증상 · 진단 · 치료 · ① 잠자리 …
Source: www.amc.seoul.kr
Date Published: 2/29/2022
View: 4387
7. 수면각성장애 간호 – KINX
또한 정신질환으로 입원한 대부분의 환자들도 불면증을 호소한다. … 절한 간호를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 수면-각성장애가 원인으로 작용하는 간호진단의 예.
Source: kocw-n.xcache.kinxcdn.com
Date Published: 9/1/2021
View: 4340
수면각성장애와 간호 – 상지대학교
주요 장애별 진단기준을 설명할 수 있다. … 관련 장애 대상자를 위한 구체적인 간호과정을 적용할 수 … DSM-IV 일차성 불면증(primary insomnia). ○ 진단 …
Source: www.sangji.ac.kr
Date Published: 8/18/2021
View: 8044
수면장애와 간호
수면의 진단. II. 수면장애 … 원인 및 역동. 3. 수면장애의 영향. 4. 관련장애. 5. 간호과정 … 불면증. – 과다수면. – 수면-각성 주기장애. – 수면중 보행장애.
Source: nursing.songwon.ac.kr
Date Published: 3/20/2021
View: 5811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불면증 간호 진단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폐렴 간호진단 Nursing diagnosis for pneumonia [ENG sub].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폐렴 간호진단 Nursing diagnosis for pneumonia [ENG sub]](https://i.ytimg.com/vi/2dvmebdgHG4/maxresdefault.jpg)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불면증 간호 진단
- Author: 널스프렌드 Nursefriend
- Views: 조회수 954회
- Likes: 좋아요 31개
- Date Published: 2022. 1. 30.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2dvmebdgHG4
수면장애 : 네이버 블로그
수면장애 ]
1. 수면장애의 정의
• 정상수면과 마찬가지로 수면장애도 원인과 기전이 확실하게 밝혀진 내용이 적어 정의와 분류가 확정적이지는 않음.
• DSM-IV-TR : 일차성 수면장애, 다른 정신장애와 관련된 수면장애, 기타로 분류함.
• ICD-10 : 불면증, 과다수면증, 수면-각성 주기장애, 수면중 보행장애, 수면중 경악장애, 악 몽장애로 분류함.
◆ 정상 수면 ◆ 1) 정의 : 각 수면단계가 정상적인 비율로 유지되고 수면주기가 일정하게 유지됨을 뜻함. 2) 수면단계와 수면주기 수면단계 REM수면 (급속안구운동) NREM수면 (비급속안구운동) • ‘꿈 수면’ 또는 ‘역설적 수면’이라고 하 며 전체 수면의 20~25%를 차지함. • 이 단계에서 깨우면 꿈을 꾸었다고 하 고 비논리적인 사고를 보이기도 함. • 질적으로 다른 종류의 수면으로 각성상 태와 유사한 매우 활동적인 뇌 기능과 생리적 기능이 특징 • 보통 성인의 8시간 수면시간 중 REM 수면은 평균 3~5회 나타남. • 4단계로 구분. – 1단계 수면 : 각성에서 수면으로 이행되 는 과정으로 전체 수면의 5% 이하를 차지하는데 비교적 짧음. – 2단계 수면 : 전체 수면의 45~55%를 차지하며 가벼운 수면으로 뇌파소견에 서 수면방추파와 K복합파가 나타남. – 3,4 단계 수면 : 전체 수면의 15~20%를 차지하는데 깊은 수면으로 진폭이 크고 느린 델타리듬이 나타나 ‘서파수면’ 혹 은 ‘델타수면’이라고도 함. 수면주기 NREM수면 과 REM수면은 대개 90~100분 간격으로 되풀이 됨. 수면 전반부에는 깊은 수면이 주로 나타나고 후반부로 갈수록 얕은 수면이 나타남. 수면 전반부에 나타나는 첫 번째 REM수면은 매우 짧지만 후반부로 갈수록 길어짐. 3) 수면의 기능 • 수면은 뇌를 재충전시켜 원상회복이 되도록 함. 수면을 박탈하면 자아붕괴, 환각, 망 각 등이 나타나고 꿈을 박탈해도 과민해지고 피로해짐. • 수면이 부족하면 림프구와 과립구 기능의 장애가 나타나고, 이화작용이 증가하는 등 신체적 역기능이 나타나며, 탈진, 혼돈, 공격성증가 등의 심리적 역기능도 발생함. • 정신적, 정서적, 신체적 활동이 증가되면 수면요구도 증가되는데 질병, 과로, 임신, 스 트레스, 정신기능 과다 등에서 수면요구가 증가죄면서 신체 회복에 도움이 됨.
2. 원인
신체적 요인 • 신체장애나 질환이 수면 중에 악화되기도 하고 수면을 저해하기도 함. • 만성폐쇄성 폐질환이나 천식과 같은 호흡기 질환이나 심한 가려움증을 동반하는 피부 질환이 있으면 자주 깨게 됨. • 협심증, 고혈압 그리고 관상동맥질환자등에게도 수면의 저해를 가져오며, 만성통증 또 한 수면에 영향을 미침. • 수면 중에 야간 다리운동 역시 잠을 깨우므로 방해 요인임. 심리적 요인 • 불안, 우울, 정신질환, 스트레스, 인지기능장애 등이 있음. • 스트레스로 인해 평형상태가 깨어지면 이를 회복하려고 활발한 적응 노력이 자동적으 로 계속되는데, 이 과정에서 건강문제가 생기거나 생체 리듬이 깨어지면서 수면장애 현상이 나타남. 성격 특성 • 억압적이고 완벽주의적인 성향이 강한 강박성 성격의 사람일수록 자기 뜻대로 수면이 조절되지 않으면 쉽게 긴장하고 불안해짐. • 수면시간이 가까울수록 정신 생리적 긴장과 각성이 높아져 불면증이 나타남. 연령과 성별 • 연령은 인간의 수면 양식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임. – 신생아나 유아의 수면은 하루에도 여러 번 반복되는 다주기성이어서 5~6세까지는 오 후에 낮잠을 자다가 그 후에는 낮잠이 없어지지만 노년에는 다시 낮잠이 나타남. • 성별은 여성이 남성보다 수면의 질이 더 낮으며 수면 방해를 더 많이 받음. – 45세 이전에는 연령의 증가와 함께 남녀의 수면장애 호소가 거의 비슷하게 증가함. – 폐경 후에는 여성이 남성보다 수면-각성 조절에 더 큰 변화가 생겨 거의 2배 정도 더 많이 수면장애를 호소함. 약물 • 적은 양의 니코틴은 신경을 이완하고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으나 어느 한도를 넘으면 니코틴 역시 중추신경계를 자극해 만성 불면증을 초래할 수 있음. • 술, 담배, 커피를 즐기는 것은 복합적인 불면 문제를 일으킬 수 있음. 환경 • 인간의 내생적인 수면-각성 주기는 정확하게 24시간이 아니고 24~28시간임. • 수면-각성 주기가 24시간 주기에 일치되도록 영향을 주는 주기성을 가진 환경적 자극 을 리듬일치요소라고 하는데, 밝음-어두움 주기, 직업 활동 및 대안관계와 같은 사회적 활동, 수면-각성 스케줄 등이 이에 해당됨.
3. 수면장애의 유형
1) 일차성 수면장애
(1) 정의
수면-각성 유발기전 또는 수면- 각성 시간조절기전의 내인성 이상에 의해 발생.
일차성 수면장애는 수면이상 dyssomnias과 사건수면 parasomnias으로 나눌 수 있음.
(2) 분류
① 수면이상 (수면곤란증)
수면시작이나 유지 또는 과도한 졸음이 나타나는 일차성 장애로 수면의 양, 질, 또는 시기에 이상이 있음.
일차성 불면증 primary Insomnia • 보통성인 중 약 30~40%가 불면을 호소하는데, 이 중 약 15~25%가 일차성 불면증. • 수면에 대한 부정적인 조건화와 야간에 증가되는 생리적, 심리적 각성과 관련. • 수면에 대한 심한 집착과 수면 불능으로 인한 고통은 악순환을 일으켜 잠을 자려고 노 력하면 할수록 좌절과 고통이 더욱 커져서 잠을 못 이룸. • 만성적인 불면증은 낮시간동안 기분 나쁘게하고, 주의력 활력, 집중력을 감소시키며, 피로간과 권태감을 증가시킴. • 수면에 대한 과도한 염려, 낮동안의 안절부절못함, 주의력 결핍과 집중력저하 등으로 인해 대인관계문제와 사회적, 직업적 문제 초래 일차성 수면과다증 • 주로 15~30세 발병. • 밤낮을 가리지 않고 잠을 지나치게 많이 자는 것으로 수 시간에서 수일동안 계속될 수 있음. 잠을 깨우기 힘들고 깨어났을 때 흔히 혼돈상태를 나타냄. • 야간수면 연장, 과다한 주간졸음 지속, 한시간 이상의 낮잠을 하루에 1~2번씩 자게 됨. • 과다한 졸음 때문에 심각한 사회적 직업적 장애를 보임. ex) 자동차운전중이나 기계조작 시, 작업효율이 저하, 집중력이나 기억력의 감소. • 졸음을 게으름이나 지루함으로 오인하기 때문에 사회적, 가족적 관계가 깨지기도 함. • 대부분 일관되게 증상이 유지되나 매년 몇 번씩 주기적으로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를 재발형이라 함. 일차성 수면과다증의 재발형으로 알려진 Klein-Levin 증후군의 경우 하 루 18~20시간 이상 잠자리에 있음. 수면발작 Narcolepsy, sleep attack • 거의 매일 견딜 수 없게 잠이 밀려오는 현상이 적어도 3개월 이상. • 학령전기나 초기 학령기부터 증상, 청소년기에 주로 문제, 40세 이후 발병은 드물고 대상자의 반 정도는 사회 • 심리적 스트레스나 수면양상의 갑작스러운 변화와 관련. • 일명 ‘기면병’ 이라하며 탈력(졸도)발작 cataplexy, 수면마비 sleep paralysis, 입면 시 환 각 hypnagogic hallucination, 분절된 야간수면이 나타남. • 수면발작은 대개 20분 이내에 끝나지만 몇 시간 후에 또 졸리기 시작하고 격렬한 감 정과 연관된 양측 근 긴장의 갑작스러운 소실이나 수면시작과 끝에 환각상태나 수면 마비가 있는 것이 특징. • 환자의 70~80%가 의식의 변화없이 근육의 긴장과 조절력을 갑자기 소실하는 탈력발 작을 경험. • 수면마비는 근육의 긴장도가 일시적으로 소실되어 움직이지 못하는 현상. • 적극적으로 사회활동을 하지 못하며 자기 자신이나 다른 사람에게 손상을 입힐 위험성 이 있음. 호흡 관련 수면장애 Breathing Related Sleep disorder • 유병율은 성인인구의 약1~10%로 주로 노인에게 많음. 서서히 발병, 만성적, 대부분 과체중이며 체중이 증가함에 따라 증상이 심각해짐. • 수면무호흡(sleep apnea)으로도 불리며 밤에 잠자는 도중 빈번한 호흡정지가 있고 심하게 코를 골며 잠을 설침. 수면 중 10초 이상 호흡이 정지하면 수면무호흡이라 보며 시간당 5~8회 이상 발생하면 병적으로 간주함. • 흉부불편감, 질식, 호흡정지, 무호흡이나 환기저하와 관련된 심한 불안이 나타나며 기억력장애, 집중곤란, 안절부절못함, 성격의 변화도 보임. • 야간수면동안에 정상적으로 호흡하기위해 잠에서 자주 깨기 때문에 과도한 졸음이나 불면증이 나타남. 책을 읽거나 텔레비전을 시청할 때, 또는 지루한 모임이나 연주회에서도 참을 수 없는 졸음 경험. • 무호흡의 양상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 호흡노력 지속되지만 상기도가 막혀서 무호흡이 나타나는 것. – 호흡을 조절하는 중추기능과 흉부와 복부의 근육은 문제 없음. – 보통 20~30초 동안 호흡정지 뒤에 짧은 헐떡거림과 큰소리의 코골기가 나타나는 것이 특징. 청색증 동반. 중추성 수면무호흡증 – 기도폐색없이 호흡정지를 특징으로 하는데 심장질환이나 신경 학적 질환이 있는 노인에게서 흔히 나타남. – 체인스토크호흡이 있으며, 무호흡 후 10~60초정도의 과호흡이 있은 후 호흡이 점차 감소하다가 다시 무호흡이 되는 것. 혼합형 – 폐쇄성과 중추성의 특징동반. – 환기 조절장래로 말미암아 동맥혈 산소농도가 저하되고 수면 에 의해 악화되는 장애. 폐는 정상이며 주로 매우 비만한 사 람에 많고 과다한 졸음과 불면을 호소함. 일주기 리듬수면장애 circadian Rhythm Sleep Disorder • 과거에 수면-각성 주기장애로 불리던 장애 • 수면-각성주기와 개인의 내인성 일주기 수면/각성계사이의 불일치 때문에 자고 싶을 때 잠들 수 없고 깨어있어야 할 때 졸리고 잠이 옴. 수면단계 지연형 – 수면-기상 주기가 사회의 요구에 상대적으로 지연된 상태로 체온과 같은 내적 리듬에서 지연이 발견됨. – 이 유형의 대상자들은 올빼미로 불리며 아침기상이 어려움. – 수면리듬은 안정적이어서 대상자 개인의 스케줄에 의해 생활한다면 문제가 되지 않으나 사회적으로 납득할 만한 수면시간과 기상시간을 맞추기 어려워 수면결핍을 불러오고 각성이 요구되는 시간대에 졸림 시차형 – 시차가 나는 지역을 여행할 때 보이는 수면장애(jet lag type) – 수면-기상리듬은 정상이며 원하는 시간대에 잠들고 기상하는 것이 어려워짐. 교대근무형 – 일주기 리듬은 정상. 교대근무에 의해 원하는 시간에 취침과 기상이 이루어지지 못해 발생하는 수면장애(shift work type) – 야간 근무자는 낮 또는 저녁근무자보다 수면이 짧고 방해를 많이 받음. 미분형 – 수면기의 전진 : 수면기 지연과 비슷하나 반대 양상 (저녁에 깨있기 힘들고 이른 아침에는 저절로 깸) – 24시간이 아닌 일주기 : 개인의 하루가 24시간의 주기를 갖지 못함으로써 다음날 수면-기상양상이 변화하는 것 – 불규칙한 수면-기상 양상 기타수면 이상 • 하지불편증후군 : 취침 시 또는 수면중에 하지의 근질거리는 이상감각, 초조함, 움직이고 싶은 충동으로 인해 수면에 방해를 받는 것을 말함. 다리를 움직이지 않을 때만 증상이 나타남. • 주기성 사지운동장애 : 수면중에 반복적으로 근육의 경축이 나타나 다리를 차듯이 움직이며 발목과 발가락이 후굴되고 심하면 무릎과 고관절이 굽혀지는 현상도 나타남. • 야간의 간대성 근경련 : 수면도입 쯤에 나타나 3,4 단계와 REM 동안 감소함. 20~60초마다 움직임을 반복하며 짧고 잦은 각성이 초래됨.
② 사건수면 (수면관련장애)
사건수면은 수면동안이나 수면/각성의 전환과정에 이상행동이나 생리적 사건이 나타나는 것. 자율신경계, 운동계 또는 인지과정의 활성화와 관련되어 발생.
악몽장애 Nightmare Disorder • 야간에 잠을 자거나 낮잠을 자는 중에 생존, 안전, 자존심위협등과 관련해 반복적으로 무서운 꿈을 꾸다가 깨며, 그 꿈의 내용을 상세하게 기억하는 것. • 일반적으로 야간 수면의 후기 2분의 1동안의 REM 수면에서 나타남. • 주로 아동기에 발생해 3~5세 아동중 10~50%에서 나타나고 심각한 정신, 사회적 스트레스에 노출되었을 때 발생. • 가벼운 자율신경계반응인 빈맥, 가쁜호흡, 피부홍조 등 보임. 수면 중 경악장애 Sleep Terrer Disorder • 갑작스럽게 잠에서 깨어나 공포에 질려 비명을 지르거나 울면서 시작. • 보통 야간수면초기 3분의 1에서 발생, 1~10분간지속, 심한 자율신경계반응과 공포행동 보임. • 악몽장애와 달리 부분적으로만 잠에서 깨어나고 혼란스럽고 지남력상실이 있으며 아침에 일어나면 사건에 대해 자세히 기억하지 못함. 아동은 1~6%, 성인 1% 수면 중 보행장애 Sleepwalking Disorder, somnambu-lism • 침대에서 일어나 돌아다니는 행동이 나타남. ‘몽유병’이라고 알려짐. • 서파수면 동안 시작되며, 야간수면의 초기 3분의1에서 흔히 나타나고 멍청하게 한 곳 을 응시하며 말을 걸거나 깨워도 거의 반응을 보이지 않음. • 10분이상 지속되지 않지만 문을 열거나 창문을 여는 등의 행동은 할 수 있으므로 위 험하며 완전히 깬 후에는 그 사건을 기억하지 못함. • 10~30%의 아동들이 적어도 한번 경험하지만 유병률은 1~5%로 낮음. 기타 • REM수면 행동장애 : 신체적 움직임이 종종 과격한 양상으로 나타나는 장애로 이장애 에서는 수면 후반에 나타나고 생생한 꿈이 보인다는 것이 몽유증과 차이임. • 수면마비 : 각성과 수면으로의 이행시기에 수의적 움직임이 불가능해지는 것을 말함. 입면시와 수면이 끝날 즈음에 나타나며 보통 극도의 불안이 있을 때 발생함. • 잠꼬대 : 의미 없는 신음소리나 중얼거림에서부터 대화나 주위사람에 대한 명령 등 정 도가 다양. 임상적으로 문제되지 않음. • 이갈이 : 2단계 수면에서 발생, 수면을 방해하지 않지만 주변 사람의 수면을 방해함. 일차성 야뇨증 – 한번도 야뇨증에서 벗어난 일이 없는 경우 – 가족력과 기질적요인 그리고 훈련에서의 문제와 관련 이차성 야뇨증 – 소변을 잘 가리다가 야뇨가 나타나는 경우 – 심리적요인과의 관련 • 야뇨증 : 소아에 흔함. 치료는 이미프라민을 자기 전 투여하며 소아의 경우 야노 발생 시 심하게 나무라거나 창피를 주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성공하는 경우 격려해주고 칭찬해줌.
2) 기타정신장애 관련 수면장애
• 불면증이 가장 흔하게 나타나며, 정신분열병환자에서는 총 수면시간이 감소하며, 우울장애의 경우에는 수면시작이나 수면 유지의 어려움과 이른 새벽에 깨어 다시 잠들 수 없음을 주로 호소.
• 조증이나 경조증 환자는 잠깐 자거나 자지 않기도 하고, 불안장애의 경우에는 잠들기 힘들고 수면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어려워 함.
• 공황장애에서는 야간 공황발작을 경험하므로 불면증이 나타나며 섬망의 경우는 초저녁이나 밤중에 돌아다니는 증상이 나타나 수면분절이 있음.
3) 일반 의학적 상태로 인한 수면장애
고혈압, 심혈관계 기능부전, 갑상선기능 항진증등의 질병과 관련해 수면장애가 일어남.
4) 물질로 유발된 수면장애
알코올, 암페타민, 카페인, 코카인, 아편류, 진정제, 수면제 및 항불안제를 사용하는 경우에 수면장애가 흔히 발생. 물질사용을 중단할 때 금단증상으로도 나타남.
4. 치료
1) 약물 치료
• 불면증을 조절하기 위해 수면제나 진정제를 사용. 대부분 불안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며 단기간동안 사용해야함.
• Barbiturate는 독성이 있고 습관성을 일으키므로 사용하지 않는 추세이고 Benzodiazepine을 주로 사용하는데 이는 수면 잠복기를 감소시키고 총 수면시간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냄.
• 항히스타민제(Doxylamine, Diphenhydramine), 항우울제 투여.
• 수면과다의 경우 – 지나친 졸음을 방지하기 위해 Penmoline, methylphenidate,
Amphetamine 같은 중추신경자극제를 사용하는데 이 약물들은 내성과 의존성이 있고 간독성의 부작용이 있으므로 주의
• 수면 중 보행 장애의 경우 – 소량의 벤조다이아제핀계 약물이나 삼환계항우울제를 투여 하면 각성을 억제하거나 3, 4단계의 깊은 수면을 억제함으로써 효과.
흔히 사용되는 진정-수면제 약물명(상품명) 유형 흡수 사용용량 (mg) 활성 대사물 졸피뎀(엠비엔) zolpidem(Ambien) 아미다조피리딘 빠름 2.5~10 없음 트리아졸람(할시온) triazolam(Halcion) 벤조디아제핀 빠름 0.125~0.2 없음 테마제팜(레스토릴) temazepam(Restoril) 테마제팜벤조디아제핀 중등도 7.5~30 없음 알프라졸람(자낙스) alprazolam(Xanax) 벤조디아제핀 빠름 0.25~1.0 있음 로라제팜(아티반) lorazepam(Ativan) 벤조디아제핀 중등도 0.5~2 없음 다이아제팜(발리움) diazepam(Valium) 벤조디아제핀 빠름 2.5~10 있음 플루라제팜(달만) flurazepam(Dalmane) 벤조디아제핀 빠름 15~30 있음
2) 기타치료
• 폐쇄성 무호흡 증후군의 경우는 수면 중에 호흡과 산소포화도를 호전시키기 위해 기관 절개술을 행하며 필요시 체중을 줄이고, 똑바로 눕는 자세를 피하는 수면 자세법을 적용.
• 내과적 치료법
– 지속적 상기도 양압술 : 이것은 비강마스크로 일정한 압력을 주입해 공기부목을 만들어 서 수면중에 기도가 열려있도록 해주는 장치
– 입천장인두성형술 : 좁혀진 부분의 조직을 제거함으로서 공기의 흐름을 원활히 하여 증상을 개선.
• 일주기 수면장애의 경우 : 2,500~10.00 Lux의 백색광에 일정시간 노출시켜 체내 일주기 리듬체계의 수면위상을 변화시키는 광선치료를 실시.
5. 간호과정
1) 간호사정
• 평소의 수면 양상과 문제되는 수면의 특징적 형태 조사
• 수면장애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정신장애나 의학적 상태가 있는지 확인
• 수면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물질을 사용하고 있는지 확인
• 수면장애 선별을 위해 “밤에 잘 주무십니까?”, “낮에 많이 졸립니까?”, “옆에서 자는 사람 이 당신의 수면에 대해 불평합니까?” 라는 세 가지의 질문을 해야 함
• 가장 많이 졸린 시간대를 파악하고, 졸음이 오는 상황에 대해 알아보아야 함
• 정확한 사정을 위해 수면일지를 기록하게 할 수도 있음
• 객관적이고 정확한 자료 수집을 위해 함께 자는 사람으로부터 정보를 얻을 수 있음
2) 간호진단
수면장애가 원인으로 작용 • 수면장애와 관련된 피로감 • 수면장애와 관련된 불안과 우울 • 수면장애와 관련된 사회적, 직업적 기능장애 • 수면장애와 관련된 물질 오남용 • 수면장애로 인한 잠재적 정신장애의 촉발 가능성 • 수면장애로 인한 신체적, 정신적 문제의 악화 가능성 수면장애가 결과로서 나타나는 경우 • 신경화학적 변화와 관련된 수면장애 • 해결되지 못한 공포, 불안, 스트레스로 인한 수면장애 • 일주기 리듬 부조화로 인한 수면장애 • 신체, 정신, 사회적 장애로 인한 활동력 감소로 인한 수면장애 • 신체, 정신, 사회적 장애로 인한 민감도 감소로 인한 수면장애 • 감각, 지각장애로 인한 수면장애 • 수면과 휴식에 대한 인식결여와 과다행동으로 인한 수면장애 • 강박적 사고의 반추로 인한 수면장애 • 급, 만성 통증으로 인한 수면장애
3) 간호계획
장•단기 목표의 예 • 별 어려움 없이 잠들기 • 밤에 깨지 않고 6~8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수면 취하기 • 낮잠에 빠지거나 졸지 않기 • 대상자 나름의 규칙적 수면습관 형성하기 • 수면장애로 인한 대인관계 및 직업적, 사회적 기능장애 감소시키기
4) 간호수행
수면위생과 생활습관에 대한 교육 • 규칙적으로 취침시간과 기상시간을 지키는 것을 습관화해야 하며, 취침 전 자극적인 음식을 섭취하지 않도록 함 • 적절한 수면환경 조성 및 잠자리에서 걱정하는 시간을 회피하도록 하고, 규칙적인 운동을 하도록 함 • 침실에서 독서나 TV 시청을 하지 말고 오로지 수면을 취하는 장소로만 인식하도록 함 인지행동요법 • 이완요법이나 명상요법 등에 대해 교육하고 대상자가 이를 실천하도록 함 • 수면제한법 시행 (잠자리에 누워있는 시간을 적정하게 줄여 수면에 대한 욕구 증대)
5) 간호평가
• 대상자 수면양상의 변화와 수면에 대한 주관적인 느낌의 변화 및 대인관계, 직업, 사회적 기능장애의 개선 정도를 평가.
Ⅲ. 결론
우리는 이번 과제를 통해 수면장애에 대해 다시 한 번 학습할 기회를 얻게 되었다.
수면장애는 단순히 잠을 자지 못하는 질병이 아니라, 각 유형마다 존재하는 원인에 의해 유발되는 질병이었으며 이는 여러 유형으로 분류되어 있었다.
이에 우리는 대상자가 호소하고 있는 수면장애가 어떤 유형에 속하며, 어떤 원인에 의해 유발되었는지를 정확하게 파악한 후 그에 맞는 간호를 제공할 수 있어야겠다.
Ⅳ. 참고문헌
• 이광자 외, 제6판 정신간호총론, 수문사, 2011, pp. 500~517
• 이경순 외, 제3판 정신건강간호학 하권, 현문사, 2007, pp. 300~320
Ⅴ. 용어정리
시나리오 의학용어 full term 뜻 bipolar disorder 양극성 장애(조증) current episode manic 현재 정신병적 증상이 없는 조병 NP neuropsychiatry 신경정신과 T-D tolerance diet 내성식이(일반식, 기호식) Free T4 free thyroxine(T4) 유리티록신(갑상샘호르몬의 하나) TSH thyroid-stimulating hormone 갑상선 자극호르몬 VDRL Venereal Disease Research Laboratory test 매독검사 nefazodone 항우울제 xanax 벤조디아제핀계 항불안제 enafon 삼환계 항우울제 OS orthopedic Surgery 정형외과 ATV ativan 항불안제 supportive psychotherapy 지지심리(정신)요법 activity therapy 활동요법 suicidal attempt 자살시도 HCG human chorionic gonadotropin 융모선 성선 자극호르몬 H/P haloperidol 항정신약물 Lithium 항조증제 Olanzapin 항정신약물 valproate 항조증약물(항경련제) chlorpromazine 항정신약물 halcion 불면증치료제 family psychotherapy 가족심리요법 P-R/I Physical Restraint/ isolation 신체억제/격리
[A+] 우울과 관련된 불면증(Insomnia) 간호과정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 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3년 4월 2일]
불면증 간호과정 레포트
소개글 불면증에 대한 간호과정입니다.
간호수행과 간호과정, 그에따른 근거를 상세히 기재했습니다.
a+받은 레포트에요~!
목차 1.간호자료
2.간호진단
3.간호계획
4.간호중재
5.간호수행
6.간호평가
본문내용 간호진단: 복합적요인과 관련된 불면증
간호계획
장기목표
하루 6~8시간의 규칙적인 수면 패턴을 가지게 될 것이다.
단기목표
2일 내로 수면을 방해하거나 촉진하는 요인에 대해 말하게 될 것이다.
3일 내로 수면 후 잘 잤다는 느낌을 말로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3일 내로 주간에 낮잠을 자거나 졸지 않을 것이다.
일주일 내로 수면을 유도하는 약물을 드물게 사용하게 될 것이다.
간호중재
(1) 수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사정한다.
불면증에는 개개인별 다양한 원인이 존재 하기 때문에 질문을 함으로써 전반적인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원인에 대해 알면 수면을 방해하는 요소를 통제할 수 있다.
(2) 수면양상을 사정한다.
개개인에게 필요한 수면의 양은 생활양식, 건강, 나이, 사용약제에 따라 다양하다.
(3) 정상수면을 증진하기 위해 처방 된 약물을 복용시킨다.
단기간 수면제 사용은 대상자가 일시적인 불면증을 겪을 때 도움이 된다.
(4) 수면증진을 위해 최적의 환경을 조성한다.
참고 자료 없음
키워드에 대한 정보 불면증 간호 진단
다음은 Bing에서 불면증 간호 진단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폐렴 간호진단 Nursing diagnosis for pneumonia [ENG sub]
- 폐렴 간호진단
- 폐렴
- Pneumonia
- Nursing diagnosis for pneumonia
- 폐렴 간호
- Pneumonia nursing care
- Pneumonia case study
- NANDA
폐렴 #간호진단 #Nursing #diagnosis #for #pneumonia #[ENG #sub]
YouTube에서 불면증 간호 진단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폐렴 간호진단 Nursing diagnosis for pneumonia [ENG sub] | 불면증 간호 진단,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