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북한산 등산 지하철역 – [맛있는 산] 도심 속 절경, 지하철타고 가는 국립공원 북한산“?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ppa.baannapleangthai.com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ppa.baannapleangthai.com/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인투TV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328회 및 좋아요 8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북한산 등산 지하철역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맛있는 산] 도심 속 절경, 지하철타고 가는 국립공원 북한산 – 북한산 등산 지하철역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가까이 있지만 만만하진 않은 산,
도심속에서 절경을 뽐내는 북한산.
북한산 등산 지하철역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북한산 등산코스 (지하철 북한산우이역2번출구-백운대)
북한산 등산코스가 너무 다양해서. 이러저리 찾아보다가 뚜벅이에게. 가장 최적의 경로를 찾았다. . 지하철역 북한산우이역2번 출구에서.
Source: m.blog.naver.com
Date Published: 3/22/2021
View: 3881
북한산 가는 길 / 북한산 등산코스 13가지 정리 – Enternity day
우이암, 신선대, 보국문 코스 · [북한산 우이암코스, 신선대코스 가는 길] · 도봉탐방지원센터 · [북한산 보국문코스 가는길] · 정름탐방안내소 · 사패산, …
Source: enternityday.tistory.com
Date Published: 4/2/2021
View: 5230
서울 지하철로 다니는 등산코스
서울 지하철로 다니는 등산코스 · 01 남한산 · 02 관악산 · 03 구룡산 · 04 남산 · 06 대모산 · 07 개화산 · 08 응봉산 · 09 도봉산
Source: click4tea.tistory.com
Date Published: 3/18/2021
View: 3664
북한산 등산코스, 백운대 등반 – 쾅쾅의 세계
시간이 급하시분은 구파발역까지. 지하철을 타고 가셔서. 버스를 타시면 됩니다. 하지만 주말 등산객이 많아. 편히 앉아서 가고싶으시면 홍제역에서.
Source: urrr-kk.tistory.com
Date Published: 12/19/2022
View: 6351
북한산 둘레길 코스 – 지하철역 & 주차장 총정리
서울시 관악구, 금천구 그리고 경기도 안양시, 과천시의 경계에 있다. 지하철 2호선 사당역에서 서울대입구역 사이에는 주말 뿐만 아니라 평일에도 등산객 …
Source: whoiscurious.tistory.com
Date Published: 1/22/2021
View: 2957
[대중교통]구파발 역에서 북한산 가는 방법과 등산후기
북한산을 대중교통을 이용해서 가려면 지하철을 타고 3호선 구파발역에서 버스를 타고 가면된다. 구파발 역에서 내리면 1번 출구에 북한산 방면이라고 …
Source: ceaser5712.tistory.com
Date Published: 1/17/2021
View: 8063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북한산 등산 지하철역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맛있는 산] 도심 속 절경, 지하철타고 가는 국립공원 북한산.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맛있는 산] 도심 속 절경, 지하철타고 가는 국립공원 북한산](https://i.ytimg.com/vi/egmqOu4OYrw/maxresdefault.jpg)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북한산 등산 지하철역
- Author: 인투TV
- Views: 조회수 328회
- Likes: 좋아요 8개
- Date Published: 2020. 10. 26.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egmqOu4OYrw
북한산 등산코스 (지하철 북한산우이역2번출구-백운대)
이번에 북한산 등산코스를 알아보면서 사람들이 준비물은 뭘 챙기나 도시락은 뭘 챙겨갈까, 간식은 등등 검색을 해보았다.
다들 도시락은 지하철역을 나와서 오르막길을 따라 늘어선 가게에서 김밥을 사는듯했다. 종종 옥수수나 감자를 삶아온 사람도 있었음.
간식은 다들 등산에는 초코바.
추운겨울에는 양갱.
북한산 등산코스 13가지 정리
북한산 가는 길 / 북한산 등산코스에 관한 정보
북한산은 도심속에 펼쳐진 멋진 자연경관과
문화자원을 온전히 보전하고 있어
15번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습니다.
많은 볼거리와 생태, 문화, 역사, 학습장소를 제공하고 있어서
전국 방방곳곳에서 시민들의 발걸음이 끊이질 않습니다.
북한산은 경기 고양시 덕양구에 위치한 산입니다.
서울 근교에 위치하고 있어
많은 등산인들이 찾는 산중에 하나이지요.
또한 13개의 등산코스를 가지고 있어
자신의 수준에 맞는 코스를 폭넓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각각의 코스의 시작점이 다르기 때문에,
소요시간과 난이도를 파악한 뒤
본인에게 적합한 코스를 선택하여
북한산 산행에 오르는게 좋습니다.
대표적으로 코스는 총 13가지입니다.
북한산성코스, 대남문코스, 사패산코스, 오봉코스, 우이암코스, 망월사,포대,회룡코스, 신선대코스, 백운대코스, 사모바위코스, 비봉코스, 보국문코스, 대동문코스, 소귀천코스
이중에 가장 초보자들이 이용하기 쉬운 코스는
우이암, 신선대, 보국문 코스입니다
총 소요시간이 1시간 30-40분으로 짧고,
등산난이도 또한 쉬워 등산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도 충분히 도심속의 산행을 즐길 수 있습니다.
[북한산 우이암코스, 신선대코스 가는 길]자동차: 네비게이션에 도봉탐방지원센터(T map기준)
대중교통: 전철 1호선 도봉산역에 하차 >> 도봉산 방면 출구 >> 도봉산역 사거리 도봉산방면 직진
>> 도봉탐방지원센터
[북한산 보국문코스 가는길]자동차: 네비게이션에 정릉탐방안내소 입력
대중교통: 전철 4호선 성신여대입구역에 하차 >> 시내버스 162번 종점 하차 >> 정름탐방안내소
그 다음으로는 사패산, 오봉산, 대동문 코스가 있습니다.
북한산에서 우이암코스보다는 조금 더 어려운 난이도이지만
전체 코스중에서는 보통의 난이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북한산 오봉코스, 사패산코스 가는길]자동차: 네비게이션에 오봉탐방지원센터 입력
대중교통: 지하철 1호선 의정부역 >>건너편 버스정류장에서 23번 탑승 >> 송추계곡하차 >>
오봉탐방지원센터
혹은 지하철 3호선 구파발역 >> 1번 출구 버스정류장에서 버스 704, 34번 탑승 >>
송추계곡하차 >> 송천상회에서 우회전 >> 오봉탐방지원센터
[북한산 대동문코스 가는길]자동차: 네비게이션에 백련공원지킴터 입력
대중교통: 지하철 4호선 수유역 1번출구 –> 마을버스 1번–> 백련사 하차–> 백련공원지킴터
소귀천, 비봉 코스는 위 코스보다는 조금 더 어려운 코스들입니다.
특히 비봉코스의 경우엔 소요시간이 짧지만
중간 정도의 난이도를 가지고 있어
북한산을 찾는 많은 시민들에게 사랑 받고 있습니다
[북한산 소귀천코스 가는길]자동차: 네비게이션에 우이분소 입력
대중교통: 지하철 4호선 수유역하차>> 수유역(시내버스 120번 153번) >> 도선사입구하차
>>우이분소
[북한산 비봉코스 가는길]자동차: 네비게이션에 구기분소 입력
대중교통: 종각에서 시내버스 7212 탑승 –> 승가사 입구 하차 –> 구기분소
서울역버스환승센터에서 시내버스 7022 –> 구기분소
다음은 비교적 난이도는 쉽지만
중간중간 짧게 중정도의 난이도의 코스가 껴있고,
시간이 오래걸리는 코스인
대남문 코스와 망월사,포대, 회룡 코스입니다.
[북한산 대남문코스 가는길]자동차: 네비게이션에 북한산성입구 입력
대중교통: 3호선 구파발역 하차 >> 버스 704, 34번 북한산성입구 하차
[북한산 망월사, 포대, 회룡코스 가는길]자동차: 네비게이션에 원도봉탐방지원센터 입력
대중교통: 1호선 망월사역 하차 >> 신흥대학 방면 출구 >>
원도봉산 직진 >> 원도탐방지원센터
다음 소개해드릴 코스는
북한산성, 백운대 그리고 사모바위 코스 입니다.
이 코스들은 난이도는 중인 반면,
소요시간이 짧아 제한된 시간에
운동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코스입니다.
[북한산의 북한산성코스 가는길]자동차: 네비게이션에 북한산성입구 입력
대중교통: 3호선 구파발역 하차 >> 버스 704, 34번 북한산성입구 하차
[북한산의 백운대코스 가는길]자동차: 네비게이션에 우이분소 입력
대중교통: 지하철 4호선 수유역하차 >> 수유역(시내버스 120번 153번)
>> 도선사입구하차 >>우이분소
[북한산의 사모바위코스 가는길]자동차: 네비게이션에 구기분소 입력
대중교통: 종각에서 시내버스 7212 탑승 –> 승가사 입구 하차 –> 구기분소
서울역버스환승센터에서 시내버스 7022 –> 구기분소
바쁜 생활속에서 시간에 쫓기다보면
건강도 악화되고 마음의 여유를 잃기 쉽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도심속에 위치한
북한산을 방문하여 등산하게 된다면
건강에 도움이 될뿐만 아니라
마음이 뚫리는 기분을 느끼실 수 있습니다.
북한산 등산코스, 백운대 등반
반응형
주말에 포스팅이 없었습니다.
토요일에 등산을 갔다온 후에
휴유증이 컸나봅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지난 토요일 폭염으로 푹푹 찌지만
등산을 가겠다는 일념으로
새벽부터 일어나서 준비를 했습니다.
폭염으로 한 낮에 가기 힘들거라
생각해서 새벽 6시에 출발했지만
출발지 도착하는데만 1시간 30분이
넘게 걸려서 한 낮까지 등산을 하였습니다.
제 출발지는 경기도 고양시의 밤골통제소 였습니다.
저희집이 신내역에 가까우니
얼마나 먼지 알수있습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침에 6호선을 타고
3호선으로 갈아타서 홍제역으로 갔습니다.
3번출구로 나와서 704번 버스를
타야하는데 지금 보시는 버스 정류장으로
가셔서 타시면
절대 안됩니다!!!
반대쪽이거든여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3번출구로 나와서 정면에 보이는
신호등을 건너서 타셔야합니다.
저는 저쪽에서 타서
무악재역까지가서 갈아탔습니다
ㅠㅠ
사실 3호선 라인 구파발역까지
버스가 이동하니
시간이 급하시분은 구파발역까지
지하철을 타고 가셔서
버스를 타시면 됩니다.
하지만 주말 등산객이 많아
편히 앉아서 가고싶으시면 홍제역에서
타는걸 추천드립니다.
이건 제가 잘못 타서 갈아탈때
찍은 사진입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버스를 타고 가시다
효자2통 정류장에서 하차 하셔서
좀만 더위로 올라가시면
이렇게 산으로 가는 초입이 보입니다.
효자2통말고 북한산성입구역이
먼저 나오는데 그곳에서도 많은 등산객들이
내리는데 그곳에서 내리면 안됩니다!
코스가 다릅니다
사실 이 코스는 난이도가 좀 있다는 코스이긴합니다.
편한코스는 북한산성에서 내리셔도 무방합니다.
원점회귀가 가능한 코스라
주차장이 있습니다.
원래는 차들이 더 많은데
기록적인 폭염+ 코로나확진자수 때문인지
확실히 많이 없었습니다.
그리고 좀더 올라가면
이렇게 안내표지가 나오기 시작합니다.
밤골통제소에 도착하면 이렇게
안내와 본격적인 산행이 시작됩니다.
통제소 바로 옆에는 굿을 하는 국사당이
있으나 등산객들은 출입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이쪽 코스가 좋은 점 중에하나는
계곡이 많아서 많은 계곡풍경을
볼 수 있는점 입니다.
물 맑은거 보세요 장난아닙니다.
여긴 국립공원이라
물에 들어가면 안되는데
몇몇 어르신들이 발을 담그고
계시더라구요….흠흠
이렇게 곳곳에 계곡 풍경이 있습니다.
또한 다른코스들 처럼
계단이나 정돈된 길이 많지는 않습니다.
흙이나 바위로 된 길이 많아서
그런길을 좋아하시는분은 더욱 가기
좋은 코스인거 같았습니다.
저도 계단보다는 그냥 저런길이 더
좋더라구요!
중간에 에너지바도 하나 먹었습니다.
아침을 못먹었습니다 ㅠㅠ
김밥하나 사먹을까 했는데
입구쪽에 파는분이 계실줄 알았는데
안계시더라구요!
그래서 그냥 에너지바로 때웠습니다.
쓰레기는 물론 가방에!
이렇게 험한 코스들도 많이 있으니
주위하셔야합니다!
등산장비 꼭 착용하신분들만
올라야하는 코스입니다!
그냥 바위오르는 곳이 꽤 많았습니다
이렇게 오르다보면 중간에
휴식할수 있는 지점이 나옵니다
많은 분들이 쉬고있습니다
중간 지점입니다.
앞으로 올라가야 할 곳입니다.
저기가 바로 숨은벽입니다!
이쪽으로는 해골바위를 볼수있지요
사실 저는 정상 백운대보다 여기가 더
뷰가 좋았어여!
사람들도 많지않았고 등산객분들도
여기를 보고 둘레길로 가신다고 하네요
정상인 백운대는 사람도 너무 많고
뷰도 생각보다는 별로 였습니다.
여기가 좋은 스팟!
하지만 오르기 힘들기도 합니다!
신기하게 냥이도 이렇게 있더라구요
사람을 좋아해서 그런지
사람들 따라 잘이동하더라구요
먹이를 많이 주나봐요 등산객들이!
잘 줘야할텐데여 사람음식말구!
저도 여기서 싸온 과일을 좀 먹고
다시 출발했습니다.
급하게 먹다보니 사진을 깜박했네여!
복숭아랑 스윗토마토 싸왔습니다 ㅎㅎ
아까 가리킨 숨은벽입니다!
저 브이는 어설픈 브이입니다
다리에 힘을 꽉주고 있거든여!
눈은 .. 눈만봐도 흔들리는 표정이라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저 바위길로 쭉오르는줄알았는데
바위길은 너무 험하고 위험하더라구요
그래서 돌아가는길이 있어 그길로 갑니다
잘 정돈된 길이 많지는 않았습니다!
좀 더 가다 정상에 가까워지면
이런 계단길도 보이기 시작합니다.
이제 조금남았습니다
이제 거의다 왔습니다
요기만 오르면 정상 백운대입니다
정상 백운대입니다!
저 태극기 있는곳은 다들 줄서서
사진을 찍고있어서
표정이 자연스럽지 못했습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다들 쳐다보고있어여 수십명이
ㅠㅠ
그래서 반대편에서 잽싸게
하나 찍었습니다.
그리고 좀 쉬다가 하산을 합니다
하산은 우이동쪽
백운탐방지원센터쪽으로
하였습니다.
확실히 올라오는 길보다는
훨씬 길이 잘 정돈되있고
쉬웠습니다. 그리고 길이도 훨씬 짧았구요
올라갈때 한 3시간 반정도 걸린거 같습니다
쉬면서 올라간 시간입니다!
내려올때는 1시간 반정도 걸렸던거 같습니다.
내려오는 사진은 후딱!
아래서만 찍었습니다
우이동에서 올라가는 코스면
이쪽이 초입이겠죠?!
입구가 이렇게 되있습니다!!
이쪽역시도 이렇게 안내가
잘나와 있습니다
주차장도 엄청 넓더라구요!
여기 앞에 바로 카페가 있길래
가지고왔던 물은 다마셔서
목말라서 카페로 바로 들어갔습니다.
수박생과일주스와 아이스아메리카노를
마시고 좀 쉬다가 내려갔습니다
백운탐방지원센터에서
지하철역, 북한산우이역까지도
꽤 많이 걸어나가야 했습니다
한 20~30분 걸어야 한다고 생각해야합니다.
마지막에 하산해서 고기랑 냉면을
먹었습니다! 술은 .. 맥주 한잔만
마셨습니다 더 먹고 싶어도
너무 지치고 힘들어서 술도 안땡기더라구요
냉면도 먹었는데 사진은 못 찍엇네요!
저 옆에 겨자식초소스 있으니
믿어주세요 ㅋㅋㅋ 가위도 두개!
집에 와서 씻고 난 뒤에
목이 따가워서 봤더니
허허 저 모양입니다.
선크림을 뚫고서 다 태워버렸네여
아주 힘들고 힘든 산행이였습니다.
이렇게 오래 걸릴줄도 몰랐고
이렇게 어려운 산행일줄 몰랐습니다.
한동안은 좀 쉬어야겠어여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등린이로써는 모험적인 산행이였습니다!
끝!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과 ‘공감’ 부탁드립니다.^_^
반응형
북한산 둘레길 코스 – 지하철역 & 주차장 총정리
728×90
반응형
북한산 둘레길은 총 21개의 코스가 있습니다.
코스 길이는 총 71.5km 라고 합니다.
예약을 해야 하는 곳, 지하철로 접근할 수 있는 곳.
그리고 서울이 아니라 경기도 의정부시에 접한 코스 등 다양하게 있습니다.
내년 상반기 전까지 주말을 이용해서 전체 코스를 친구들과 다녀올 생각입니다.
그래서 코스별로 인접한 지하철역 정보, 주차장 정보 등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코스별 난이도와 거리, 가까운 지하철 역 코스별 주차시설, 주차장 정보 예약이 필요한 코스 정보 및 주의사항
위와 같은 순서로 정리해보겠습니다~
1. 코스별 난이도와 거리, 가까운 지하철 역
출처: 북한산 국립공원 홈페이지
북한산 둘레길 전체 정보입니다.
서울시 은평구, 성북구와 경기도 의정부시 사이에 자리잡은 북한산입니다.
1코스, 소나무 숲길
난이도 하 / 거리 3.1km / 소요시간 약 1시간 30분
가까운 지하철역: 수유역, 북한산우이역, 솔밭공원역
2코스, 순례길
난이도 하 / 거리 2.3km / 소요시간 약 1시간 10분
가까운 지하철역: 수유역, 솔밭공원역
3코스, 흰구름길
난이도 중 / 거리 4.1km / 소요시간 약 2시간
가까운 지하철역: 수유역, 길음역
4코스, 솔샘길
난이도 하 / 거리 2.1 km / 소요시간 약 1시간
가까운 지하철역: 길음역
5코스, 명상길
난이도 상 / 거리 2.4km / 소요시간 약 1시간 10분
가까운 지하철역: 길음역
6코스, 평창마을길
난이도 중 / 거리 5.0km / 소요시간 약 2시간 30분
가까운 지하철역: 길음역
7코스, 옛성길
난이도 중 / 거리 2.7km / 소요시간 약 1시간 40분
가까운 지하철역:불광역
8코스, 구름정원길
난이도 중 / 거리 5.2km / 소요시간 약 2시간 30분
가까운 지하철역: 불광역, 연신내역
9코스, 마실길
난이도 하 / 거리 1.5km / 소요시간 약 45분
가까운 지하철역: 연신내역, 구파발역
10코스, 내시묘역길
난이도 하 / 거리 3.5km / 소요시간 약 1시간 45분
가까운 지하철역: 구파발역
11코스, 효자길
난이도 하 / 거리 3.3km / 소요시간 약 1시간 30분
가까운 지하철역: 구파발역
12코스, 충의길
난이도 중 / 거리 3.7km / 소요시간 약 1시간 45분
가까운 지하철역: 구파발역
13코스, 송추마을길
난이도 하 / 거리 5km / 소요시간 약 2시간 30분
가까운 지하철역: 구파발역, 의정부역
14코스, 산너미길
난이도 상 / 거리 2.3km / 소요시간 약 1시간 10분
가까운 지하철역: 의정부역
15코스, 안골길
난이도 중 / 거리 4.7km / 소요시간 약 2시간 20분
가까운 지하철역: 의정부역, 회룡역
16코스, 보루길
난이도 상 / 거리 2.9km / 소요시간 약 1시간 30분
가까운 지하철역: 회룡역, 망월사역
17코스, 다락원길
난이도 하 / 거리 3.1km / 소요시간 약 1시간 30분
가까운 지하철역: 망월사역, 도봉산역
18코스, 도봉옛길
난이도 하 / 거리 3.1km / 소요시간 약 1시간 30분
가까운 지하철역: 도봉산역, 도봉역
19코스, 방학동길
난이도 중 / 거리 3,1km / 소요시간 약 1시간 30분
가까운 지하철역: 도봉역, 쌍문역
20코스, 왕실묘역길
난이도 하 / 거리 1.6km / 소요시간 약 45분
가까운 지하철역: 쌍문역, 수유역
21코스, 우이령길 – 예약 필수, 사전예약제로 운영
난이도 중 / 거리 6.8km / 소요시간 약 3시간 30분
가까운 지하철역: 수유역, 북한산우이역 / 구파발역
21코스, 우이령길은 탐방예약제로 운영되고 있음. 사전예약 및 신분증 지참 필수!
글 마지막에 예약하는 방법 적어두었습니다.
2. 코스별 주차시설, 주차장 정보
1코스, 소나무 숲길 – 난이도 하 / 거리 3.1km / 소요시간 약 1시간 30분
주차시설(유료)
강북구 견인차량보관소(내 주차장) – 서울시 강북구 우이동 5-1
전화 : 02-944-3028
2코스, 순례길 – 난이도 하 / 거리 2.3km / 소요시간 약 1시간 10분
주차시설(유료)
공영주차장(둘레길탐방안내센터 앞) – 서울시 강북구 수유동 산 73-1
전화 : 02-944-3025
4코스, 솔샘길 – 난이도 하 / 거리 2.1 km / 소요시간 약 1시간
주차시설(유료)북한산국립공원 정릉주차장 – 서울시 성북구 정릉4동 829
전화 : 02-909-0497~8
10코스, 내시묘역길 – 난이도 하 / 거리 3.5km / 소요시간 약 1시간 45분
주차시설(유료)북한산국립공원 북한산성주차장 – 서울시 은평구 진관동 62
전화 : 02-381-2725
13코스, 송추마을길 – 난이도 하 / 거리 5km / 소요시간 약 2시간 30분
주차시설(유료)북한산국립공원 송추공영주차장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울대리 421-6번지
전화 : 031-876-5721
16코스, 보루길 – 난이도 상 / 거리 2.9km / 소요시간 약 1시간 30분
주차시설( 무료 )북한산국립공원 원도봉주차장 – 경기도 의정부시 호원동 229-226번지
전화 : 031-873-2791~2
18코스, 도봉옛길 – 난이도 하 / 거리 3.1km / 소요시간 약 1시간 30분
주차시설(유료)도봉공영주차장 – 서울시 도봉구 도봉동 599-34번지
전화 : 02-954-0859
3. 예약이 필요한 코스 정보 및 주의사항
a. 인터넷 예약
– 예약 사이트 주소
reservation.knps.or.kr/main.action
‘탐방 예약제 → 예약하기 → 우이령탐방’을 선택하면 됩니다.
회원가입 필요합니다.
탐방시간은 오전 9시 부터 오후 4시까지입니다. 아무래도 거리, 시간이 꽤 있는 편이라 저 시간 이후로는 통제하는 게 맞지요.
송추(교현)출발, 우이 출발. 이렇게 두 곳으로 나눠서 하루에 한 곳당 400명, 합쳐서 800명만 이용이 가능합니다.
b. 전화예약
전화예약은 아무나 할 수 없고 제약이 있습니다.
65세 이상인 경우 장애인이거나 외국인인 경우에만 가능합니다.
전화번호는 아래와 같습니다.
교현탐방지원센터 : 031-855-6559
우이탐방지원센터 : 02-998-8365
출발하려는 곳의 센터에 날짜, 인원 제대로 확인해서 연락하세요~
날이 본격적으로 더워지기 전에 둘레길 탐방을 시작해야겠습니다.
건강 잘 챙기세요~
728×90
반응형
[대중교통]구파발 역에서 북한산 가는 방법과 등산후기
구파발 역에서 북한산 가는 방법 및 등산후기
북한산은 해발 837m로 서울과 고양시 의정부시를 끼고 있는 매우 큰 산이다. 그래서 가는 방법도 연신내, 불광동, 구파발역 등 여러가지가 있는데 그 중 구파발 역에서 북한산 가는 방법을 소개하려 한다.
북한산을 대중교통을 이용해서 가려면 지하철을 타고 3호선 구파발역에서 버스를 타고 가면된다.
구파발 역에서 내리면 1번 출구에 북한산 방면이라고 쓰여져 있다. 1번 출구로 나가자!
.
1번 출구로 나가면 뒤쪽으로 버스정류장이 보인다.
절대!! 횡단보도 건너지 말고 바로 뒤에 있는 버스정류장에서 버스를 타도록 하자!
구파발역 횡단보도 건너편에는 롯데몰이 있다. 롯데몰 안에 롯데마트도 있어서 산에서 먹을 간식이나 음료수 등을 살 수 있다.
롯데몰에 안가고 바로 북한산으로 가려면
구파발역 앞에 횡단보도를 건너지 말고 바로 뒤의 정류장으로 고고!!
버스가 여러대가 정차하는데 우리가 타야할 버스는 34번 버스이다. 34번 버스 노선도를 찍어보았다.
현재 위치에서 11개 정거장 뒤에 북한산성입구 정류장이 보인다.
북한산성입구 정류장에서 내리면 여기에 정차하는 버스가 쓰여져 있다. 다른 곳에서 북한산에 오는 분들을 위해 찰칵! 704번 8772번도 북한산성입구에 정차한다.
.
정류장에서 내려서 올라가면 된다. 외길이라서 쭉 가면 된다.
북한산 국립공원 표지판이 보인다.
지하철이 아닌 자가용을 이용하는 분들을 위해 주차장 사용료도 올린다.
주차장을 지나 쭉 올라가보자
드디어 북한산국립공원 입구다. 등산 시작!!
평일이라 그런지 사람들이 별로 없었다. 날씨가 흐리고 바람이 불어서 사진도 어둡게 나왔다.
.
오르다 보니 대서문이 나온다.
대서문 뒤로 계단이 있는데 올라가보면 이렇다.
대서문에 대한 역사해설이다.
.
중간에 북한동 역사관이 나온다.
내부에는 북한산성에 대한 역사 소개와 유물들이 전시되어 있다.
여기서 갈림길이 나온다. 왼쪽은 백운대까지 2.1km 로 짧은 코스지만 험하고
오른쪽 길은 산이 평탄하지만 4.1km 로 2배나 멀다. 하지만 왼쪽길은 저번에 갔으므로 오른쪽 길로 가보았다.
.
오른쪽 길은 평탄하고 길도 잘 정비되어 있어서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오를 수 있었다.
저 멀리 중성문이 보인다.
중성문 소개글도 찰칵!!
날씨를 잘못 잡았는지 날이 점점 흐려지고 바람도 거세지는 것이 비가 올 것 같아 중간에 하산했다. 저번에 백운대까지 갔다와서 이번에 다른코스를 가보려고 했는데 살짝 아쉬웠다.
오른쪽 코스는 정말 등산하기 쉽고 편했다. 등산이 초보고 시간이 여유있으신 분들은 오른쪽 길을 추천한다.
반응형
[정보 | 북한산 우이경전철로 가기] “차 막혀서 늦었어” 핑계 이제 안 통해요!
신설동에서 우이동까지 23분 만에 주파, 북한산 동쪽 훨씬 가까워져
1.우이령과 도봉산 우이암으로 이어진 길 초입에 우이신설철도 차량기지가 있다. 2 북한산우이역에서 도선사 입구로 이어진 길. 백운대와 인수봉으로 이어진 최단 코스라 많은 사람들이 찾는다. 3.북한산우이역에서 국립공원 우이분소로 이어진 운치 있는 둘레길.
40분 이상 걸리던 길이 23분으로 확 줄었다. 차가 안 막히는 시간조차 신설동에서 버스를 타면 우이동 도선사 입구까지 40분은 걸렸다. 교통체증에 따라 정확한 도착시간을 가늠하기 어려워 산행 약속에 늦는 일도 다반사였다. 우이동에서 만날 때 “차가 너무 막혀서”라는 말 한마디면 언제나 면죄부를 받을 수 있었다. 이제부터는 그런 핑계가 통할 수 없게 되었다.
9월 2일 우이신설경전철(이하 우이경전철)이 개통했다. 우이경전철은 신설동과 우이동을 잇는 11.4km 노선으로 신설동역~보문역~성신여대입구역~정릉역~북한산보국문역~솔샘역~삼양사거리역~삼양역~화계역~가오리역~4·19민주묘지역~솔밭공원역~북한산우이역까지 13개역으로 이뤄져 있다.
경전철이란 이름에서 알 수 있듯 2량의 열차만으로 운행하며, 기관사 없이 무인으로 운행된다. 평일 출퇴근 시간에는 3분 간격으로 촘촘히 운행하고, 주말과 공휴일 오전에는 6분 간격으로 운행해 등산객들이 이용하기에 불편이 없다.
버스 외에는 마땅한 대중교통 수단이 없었던 서울 동북부 지역과 북한산국립공원의 접근이 한결 수월해진 셈이다. 특히 북한산 주능선 동쪽 지능선과 계곡 접근이 편해졌다. 진달래능선, 구천계곡, 칼바위능선, 정릉계곡, 형제봉능선 등 산세가 가진 수려함에 비해 상대적으로 찾는 이들이 많지 않았던 북한산 동쪽 지릉과 지계곡은 입산객 수가 대폭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어떤 지하철역은 워낙 지하 깊은 곳에 있어 에스컬레이터와 계단을 따라 한참을 내려가야 하지만, 경전철은 대개 깊지 않은 곳에 승강장이 있어 접근이 편리하다. 또 무인으로 운행되기에 운전실이 별도로 없어 제일 앞칸 창문과 뒤칸 창문을 통해 기관사가 된 듯 운행 과정을 구경하는 재미도 있다.
13개 역 중 갈아 탈 수 있는 곳은 1호선 환승역인 신설동역, 6호선 환승역인 보문역, 4호선 환승역인 성신여대입구역이다. 등산로 초입에서 가까운 대표적인 역은 북한산우이역, 4·19민주묘지역, 화계역, 북한산보국문역이다. 이곳 지하철역과 북한산 등산로 초입까지 이어진 길과 하산 후 식사장소로 알맞은 식당들을 소개한다.
북한산우이역
우이경전철의 종착지이자 북한산 정상 백운대와 우이령길, 도봉산 우이암 길목인 북한산우이역은 가장 많은 등산인구가 찾을 것으로 예상된다. 북한산우이역에서 가장 인기 코스는 백운대를 오르는 코스다.
도선사 입구의 백운탐방지원센터를 통해 입산하여, 하루재와 백운산장을 거쳐 백운대 정상에 오를 수 있다. 정상으로 이어진 최단 코스라 연중 찾는 이가 많다. 하산은 온 길로 그대로 내려가면 가장 시간을 절약할 수 있고, 시간과 체력에 여유가 있다면 위문(백운봉암문)에서 계곡을 따라 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로 하산할 수도 있다. 더 길게 탈 경우 위문에서 남쪽으로 북한산성(주능선)을 따라 종주할 수도 있다. 곳곳에 하산 갈림길이 있어 체력과 시간에 맞게 하산 코스를 택할 수 있다.
지하철 역명은 북한산우이역이지만, 도봉산으로 가는 산길도 있다. 2번 출구로 나와 북진해 우측의 우이암지킴터로 입산하여 우이암을 거쳐 도봉 주능선을 탈 수 있다.
주능선에서 오봉을 타고 송추로 하산하거나, 도봉산의 정상격인 자운봉에 오른 후 도봉계곡 방면으로 하산하거나, 포대능선으로 산행을 이어갈 수 있다.
출구가 두 곳 있지만 1번 출구는 차량기지로 입고되는 열차의 방향전환 때문에 사용할 수 없다. 오로지 2번 출구를 통해 드나들 수 있다. 북한산 정상 방면인 도선사 방면은 2번 출구를 빠져나와 노스페이스 매장을 끼고 좌회전해 2.3km 걸어 오르면 산길 입구인 백운탐방지원센터 앞 주차장에 닿는다. 역에서 북한산국립공원 우이분소 사이 600m 구간에 식당과 마트, 아웃도어 매장이 즐비하다. 산행 전 김밥을 사거나, 산행 후 뒤풀이 장소로 이용되는 먹자골목이다.
둘레길을 따르면 상업적인 분위기를 피해 한결 조용한 분위기 속에서 걸을 수 있다. 2번 출구를 나와 120m 직진하여 우이천 직전 편의점에서 왼쪽 골목으로 우이천을 따라 걷는 북한산둘레길(서울둘레길)이 있다.
우이동더파인트리콘도 위쪽 민속식당 ‘산에는 꽃이 피네’에서 길이 두 갈래로 나뉜다. 왼쪽 길을 따라 1.1km쯤 걸으면 영봉 등산로 입구에 닿는다(용덕사 350m, 영봉 2.6km). 영봉 길은 하루재로 연결된다. 영봉 들머리를 지나 계속 비포장 길을 따르다가 계곡을 가로지르는 둘레길을 따라도 우이령탐방지원센터에 닿지만 우이령길이 목표라면 ‘산에는 꽃이 피네’에서 오른쪽 우이동먹거리마을 길을 따르도록 한다(약 2km). 우이령길은 국립공원 홈페이지를 통해 예약해야 탐방이 가능하다.
도봉산 방면 역시 ‘산에는 꽃이 피네’ 오른쪽 우이동먹거리마을 길을 따른다. 250m쯤 오르면 우이천을 가로지른 한일교 직전 오른쪽에 도봉산 등산로 이정표가 있다. 우이동먹거리마을 도로변에는 백숙이나 오리, 장어 등 여럿이 먹을 수 있는 요리 전문점들이 들어서 있다.
1. 아카데미탐방지원센터에서 4.19민주묘지역 가는 길. 2. 진달래능선 입구인 백련공원지킴터. 3. 4.19민주묘지역 2번 출구.
4.19민주묘지역
1.빌딩 형태인 화계역 2번 출구 2.화계역 앞 화계공원지킴터
화계역
정릉계곡 입구의 주차장. 둘레길로 드는 길목이다.
북한산보국문역
정릉계곡과 형제봉능선, 칼바위능선 입구다. 정릉계곡은 한때 북한산을 대표하는 계곡 중 하나였다. 정릉계곡을 따라 끝까지 오르면 보국문에 닿는다. 계곡 초입에서 좌측으로 들면 형제봉능선, 우측으로 들면 칼바위능선이다. 이렇듯 정릉계곡 코스는 좋은 능선 2곳과 계곡 한 곳을 거느린, 북한산 산행의 중요한 들머리다.
보국문에서 서쪽으로 진행하면 청수동암문을 거쳐 북한산의 인기 코스인 비봉능선으로 연결된다. 비봉능선을 따라 끝까지 종주하면 3호선과 6호선 기점인 불광역으로 하산할 수 있어 교통이 편리하다.
2번 출구에서 1.3km 찻길로 오르면 정릉탐방지원센터에 닿는다. 2번 출구에서 120m 이동해 정릉4동주민센터 앞에서 110A, 110B, 1020번 버스를 타고 종점에서 하차해 300m만 걸으면 정릉탐방지원센터다. 1.3km 길에는 시장과 식당, 마트가 이어져 있다. 정릉탐방지원센터에서 정릉대우아파트까지 500m 사이에 식당이 밀집해 있다.
북한산 등산 코스 13가지
북한산을 가실 경우 아래의 13가지 코스를 소개합니다. 그림을 첨부하여 소요시간까지 모두 나와있습니다. 북한산성쪽으로 오르실 경우라면 아래의 9번 코스가 적합할 것으로 생각됩니다만, 왔던 길을 다시 내려오시는 것 보다는 정상(백운대)에서 우이동으로 내려오시는 방법도 괜찮을 듯 싶습니다. 대부분의 북한산을 다 올라가 봤습니다만, 특별히 어디가 더 좋다고 추천하기 어려울만큼 모두 괜찮습니다. 10번을 가봐도 다양한 코스로 가봐서 그런지 갈때마다 새롭고 멋지더라구요. 처음 가시는 분에게 하나를 꼽아본다면 올라가실땐 9번 코스처럼 북한산성에서 출발하여 백운대를 오르신 후 내려오실땐 1번 우이동으로 내려오시는게 가장 재미있을 듯 합니다. 내려오시는 1번(우이동)은 소요시간은 가장 빠른만큼 경사가 무척 가파르단 사실 명심하십시오. 제가 추천해드린 방법대로 가시면 총 소요시간이 4시간 30분인데… 경험상 이시간은 좀 힘들지 않나 생각됩니다. 중간에 휴식도 하시고 간식도 드시고 하려면 제생각엔 넉넉잡고 5시간 반정도 잡으셔야 할 것 같네요. 물론 일행 중 어린이가 있다면 또 변수가 발생하죠. 또다른 변수는 일요일입니다. 일요일에는 상상 이상의 많은 인파가 몰립니다. 올라가고싶어도 줄을 서있기 때문에…또는 교행하는 사람들에게 양보하고 대기하는 시간이 생각보다 만만치 않습니다. 아무튼 그날의 상황을 봐서 시간을 미리 계획해야 할 듯 합니다. 사진을 클릭하시면 좀 더 자세히 보입니다. 1. 북한산 – 우이동(백운대)코스 2. 북한산 – 비봉코스 3. 북한산 – 보국문코스 4. 북한산 – 대동문코스
5. 북한산 – 망월사, 포대능선코스 6. 북한산 – 오봉코스 7. 북한산 – 사모바위코스 8. 북한산 – 대남문, 북한산성코스 9. 북한산 – 백운대, 북한산성코스 10. 북한산 – 사패산코스 11. 북한산 – 신선대코스 12. 북한산 – 소귀천코스 13. 북한산 – 우이암코스 구파발역에서 북한산성입구까지는 절대로 걱정마십시오. 모자쓰고 배낭매신 분들이 너무나도 많습니다. 휴일에는 완전 등산열차입니다. 그분들 따라가시면 됩니다. 구파발역 2번출구로 나가시면 버스정류장이 있습니다. 그곳에서 34번 또는 704번을 타신 후 ‘북한산성입구’에서 내리십시오. 버스로 약 10분 소요됩니다. 북한산(836.5m) 매표소별 교통편
* 우이동 기점 1 육모정매표소; 4호선 수유역에서 101, 130, 1121, 1144, 1217, 1218번 버스 이용, 종점 하차 2 백운대 매표소;4호선 수유역에서 101, 130, 1121, 1144, 1217, 1218번 버스 이용, 종점 하차 3 북한산장매표소;4호선 수유역에서 101, 130, 1121, 1144, 1217, 1218번 버스 이용, 종점 하차 4 소귀천 매표소 ; 4호선 수유역에서 101, 130, 1121, 1144, 1217, 1218번 버스 이용, 종점 하차 5 진달래 매표소 ; 4호선 수유역에서 101, 130, 1121, 1144, 1217, 1218번 버스 이용, 종점 하차 6 보광사 매표소 ; 4호선 수유역에서 101, 130, 1121, 1144, 1217, 1218번 버스 이용, 덕성여대 입구 하차
* 수유동 기점 7 수유3 매표소 ; 4호선 수유역에서 101, 130, 1121, 1144, 1217, 1218번 버스 이용, 4.19국립묘지 입구 하차 도보로 접근(10분거리), 4호선 수유역에서 1번 마을버스 4.19묘지 하차 8 수유2 매표소 ; 4호선 수유역에서 101, 130, 1121, 1144, 1217, 1218번 버스 이용, 4.19국립묘지 입구 하차, 도보로 접근(10분거리), 4호선 수유역에서 1번 마을버스 백련사 하차 9 백련 매표소 ; 4호선 수유역에서 101, 130, 1121, 1144, 1217, 1218번 버스 이용, 4.19국립묘지 입구 하차 도보로 접근(10분거리), 4호선 수유역에서 1번 마을버스 백련사 하차 10 운가 매표소 ; 4호선 수유역에서 101, 130, 1121, 1144, 1217, 1218번 버스 이용, 4.19국립묘지 입구 하차, 도보로 접근(10분거리), 4호선 수유역에서 1번 마을버스 통일교육원 하차 11 아카데미매표소 ; 4호선 수유역에서 101, 130, 1121, 1144, 1217, 1218번 버스 이용, 4.19국립묘지 입구 하차 도보로 접근(10분거리), 4호선 수유역에서 1번 마을버스 아카데미하우스(종점) 하차 12 냉골 매표소 ; 4호선 성신여대역에서 104, 144, 151번이용, 도보로 접근, 4호선 수유역에서 2번 마을버스 영락기도원 하차 13 화계동 매표소 ; 4호선 성신여대역에서 104, 144, 151번이용, 도보로 접근, 4호선 수유역에서 3번 마을버스 화계사 입구 하차 14 빨래골 매표소 ; 4호선 성신여대역에서 104, 144, 151번이용, 도보로 접근, 4호선 수유역에서 3번 마을버스 빨래골(종점) 하차 15 칼바위 매표소 ; 4호선 미아삼거리역에서 104, 144이용, 미아1동 하차, 4호선 길음역에서 7-1마을버스 이용 산림초소 하차
* 정릉 기점 16 정릉 매표소 ; 4호선 성신여대역에서 143, 171, 1012, 1013, 1014, 4호선 길음역에서 110, 162, 1013, 1020 정릉행 버스 이용
* 국민대 기점 17 국민대 매표소 ; 4호선 길음역에서 170, 171, 1112, 1711, 7111, 7211버스 이용(북악터널 행 확인), 국민대에서 하차 18 북악 매표소 ; 4호선 길음역에서 170, 171, 1112, 1711, 7111, 7211버스 이용(북악터널 행 확인) 국민대에서 하차 19 북악2 매표소 ; 4호선 길음역에서 170, 171, 1112, 1711, 7111, 7211버스 이용(북악터널 행 확인) 국민대에서 하차
* 평창동 기점 20 형제봉 매표소 ; 4호선 길음역에서 170, 171, 1711, 7111, 7211버스 이용(북악터널 행 확인) 올림피아호텔 하차, 3호선 홍제역에서 위의 버스 이동 올림피아호텔 하차 21 평창 매표소 ; 광화문 경복궁역에서 0012번 버스이용 평창동 종점하차, 4호선 길음역, 3호선 홍제역에서 170, 171, 1711, 7111, 7211번 버스이용 평창동하차 마을버스 이용
* 구기동 기점 22 구기 매표소 ; 3호선 경복궁역에서 0011버스이용 구기빌라 하차 3.6호선 불광역에서 7111, 7022버스이용 구기터널 하차 23 승가 매표소 ; 3호선 경복궁역에서 0011버스이용 구기빌라 하차 3.6호선 불광역에서 7111, 7022버스이용 구기터널 하차 24 비봉 매표소 ; 3호선 경복궁역에서 0011버스이용 구기빌라 하차 3.6호선 불광역에서 7111, 7022버스이용 구기터널 하차 25 탕춘대매표소 ; 3호선 경복궁역에서 0011버스이용 구기빌라 하차 3.6호선 불광역에서 7111, 7022버스이용 구기터널하차
* 불광동 기점 26 구기터널매표소 ; 3․6호선 불광역에서 7720, 7022버스이용 장미동산 약수터 하차 4호선 길음역 7211버스이용 구기터널 입구 또는 독박골 하차 27 불광 매표소 ; 6호선 독바위역 하차. 7720번 버스이용 독바위역 하차
* 진관동 기점 28 진관 매표소 ; 3호선 구파발역에서 7724번 버스이용 종점 하차, 3호선 구파발역에서 704(송추행), 34(의정부행)번 버스이용, 삼천사골 입구, 백화사 입구, 응봉능선 입구 하차 29 삼천 매표소 ; 3호선 구파발역에서 704(송추행), 34(의정부행)번 버스이용, 삼천사골 입구, 백화사 입구, 응봉능선 입구 하차
* 북한산성 기점 30 산성 매표소 ; 3호선 구파발역에서 704(송추행), 34(의정부행)이용, 북한산성 입구 하차 31 시구문 매표소 ; 3호선 구파발역에서 704(송추행), 34(의정부행)이용, 시구문(서암문 매표소) 마을회관 앞 하차
* 효자동 기점 32 밤골 매표소 ; 3호선 구파발역에서 704(송추행), 34(의정부행)이용, 성황당 앞 하차 33 사기막 매표소 ; 3호선 구파발역에서 704(송추행), 34(의정부행)이용, 사기동 하차
▶ 지하철
– 지하철 4호선 수유역 하차 (3번출구)
– 버스편 (101번, 170번, 1211번) 이용 우이동 종점에서 하차
– 쌍문역 하차 (1번출구) 버스편(1165번) 이용 우이동에서 하차 – 창동역 2번출구로 나와서 우이동 그린파크가는 마을버스 ▶ 시내버스
– 101번, 109번, 144번, 151번, 170번, 1217번, 1219번 이용 우이동에서 하차 ▶ 내부순환로 이용하실 경우
– 내부순환로 정릉입구 – 4.19사거리 또는 우이동방향-우이동 종점 로타리-호텔 ▶ 동부간선도로 이용하실 경우
– 동부간선도로(의정부방향)-지하차도 2개(마들지하차도, 노원지하차도)지나고 방학사거리 방면
좌회전-우이동방향(5~10분)-호텔 ▶ 일산 방면에서 오시는 분들
– 의정부 방향 국도-의정부 입구에서 서울방향으로 계속 직진-방학사거리에서 우이동 방향 우회전(5~10분)-호텔
도봉산 등산코스 1. 용암문 코스 (←우이동방향/ 지도 1번 , 1시간30분~2시간) 도선사 주차장 – 도선사 – 용암문 – 위문 – 백운대 2. 하루재 코스 (←우이동방향/ 지도1번 , 1시간30분~2시간) 도선사 주차장 – 우이대피소 – 인수대피소 – 백운대피소 – 위문 – 백운대 3. 진달래능선 코스(←4.19탑 방향/ 지도2번 , 2시간30 분~3시간) 운가매표소 – 이준열사묘 입구 – 운가사 – 진달래능선 – 대동문 – 동장대 – 용암문 – 위문 – 백운대 4. 아카데미하우스 코스(←4.19탑 방향/ 지도 2번 , 2시간30분~3시간 ) 아카데미하우스 – 구천계곡 – 구천폭포 – 대동문 – 동장대 – 용암문 – 위문 – 백운대 5. 칼바위 코스 (←4.19탑 방향/ 지도2번 , 3시간) 아카데미하우스 – 구천계곡 – 갈림길 – 칼바위능선 – 산성 – 대동문 – 동장대 – 용암문 – 위문 – 백운대 6. 보국문 코스(←정릉방향/ 지도6번 , 3시간) 정릉매표소 – 넓적바위 – 보국문 – 대동문 – 용암문 – 위문 – 백운대 7. 일선사코스(←구기터널 방향/ 지도9번 , 3시간30분~4시간) 북악파크호텔 – 동령폭포 – 일선사 – 대성문 – 보국문 – 대동문 – 용암문 – 위문 – 백운대 8. 대성문 코스 (←정릉방향/ 지도6번 , 3시간 30분) 정릉매표소 – 삼봉사 – 영추사 – 대성문 – 보국문 – 대동문 – 용암문 – 위문 – 백운대 9. 칼바위 코스(←수유동방향/ 지도3번 , 3시간30분~4시간) 우이초등교 – 영락기도원 – 조병옥 박사묘 – 갈림길 – 칼바위 능선 – 대동문 – 동장대 – 용암문 – 위문 – 백운대 10. 화계사 코스( 지도4번 방향,3시간30분~4시간) 화계사 입구 – 화계사 – 삼성암 – 칼바위능선 – 대동문 – 동장대 – 용암문 – 위문 – 백운대 11. 형제봉 코스 (국민대 방향/ 지도7번 , 4시간~4시간30분) 북악터널입구 – 영불사 – 형제봉 – 대성문 – 보국문 – 대동문 – 용암문 – 위문 – 백운대 12. 삼천사코스(구파발 방향/ 지도15번 , 4시간~4시간30분) 156번 버스 종점 – 삼천사 – 문수봉 – 대남문 – 대성문 – 보국문 – 대동문 – 용암문 – 위문 – 백운대 13. 문수사코스(구기터널 방향/ 지도10번 , 4시간~4시간30분) 구기터널입구 – 구기계곡 – 대남문 – 대성문 – 보국문 – 대동문 – 용암문 – 위문 – 백운대 14. 승가사코스(구기터널방향/ 지도10번 , 4시간30분~5시간) 구기터널입구 – 승가사 – 사모바위 – 승가봉 – 문수봉 – 대남문 – 대성문 – 보국문 – 대동문 – 용암문 – 위문 – 백운대 15. 진관사 코스(연신내 방향/ 지도14번 , 4시간30분~5시간) 진관사입구 – 진관사 – 비봉 – 사모바위 – 승가봉 – 대남문 – 대성문 – 보국문- 대동문 – 용암문 – 위문 – 백운대 16. 비봉코스(구기터널 방향/ 지도10번 , 4시간30분~5시간) 구기터널입구 – 연화사 – 금선사 – 비봉 – 사모바위 – 승가봉 – 문수봉 – 대남문- 대성문 – 보국문 – 대동문 – 용암문 – 위문 – 백운대 17. 불광중학교코스(독바위 방향/ 지도13번 , 4시간30분~5시간) 불광중 – 향림담 – 비봉 – 사모바위 – 승가봉 – 문수봉 – 대남문 – 대성문 – 보국문 – 대동문 – 용암문 – 위문 – 백운대 18. 의상능선코스(←북한산성입구 방향/ 지도16번 , 6시간~7시간) 북한산성입구- 대서문-의상봉-용출봉-용혈봉-증취봉-나월봉-나한봉-문수봉-승가봉-사모바위-비봉-향로봉 -쪽두리봉-불광동 19. 원효봉코스(←북한산성입구 방향/ 지도16번 , 1시간~1시간30분) 효자동-시구문-원효암-원효봉 ▶ (연장코스) 원효봉-북문- 15m직벽아래-설인장-약수암위공터-와폭-여우굴-백운대 (1시간30분~2시간) 20. 숨은벽능선(뒷길)코스(←밤골/사기막골방향/ 지도17,18번, 4시간~4시간30분) 효자2동-밤골-굿당-숨은벽뒷길-인수대피소-하루재-도선사 21. 상장능선코스(←솔고개방향/ 지도19번 , 3시간30분~4시간) 솔고개-상장1,2봉,3봉,…9봉(왕관봉)-법안사- 우이암매표소 22. 도봉산 오봉코스(←송추유원지 방향/ 지도20번, 3시간30분~4시간 ) 송추유원지-송추남능선-여성봉-오봉-오봉삼거리-송추폭포-송추계곡 23. 사패산 코스 (←송추유원지 방향/ 지도20번 , 2시간30분~3시간) 송추유원지-송추계곡-송추북능선-사패능선-사패산 24. 사패산 코스(←의정부 방향/ 지도22번 , 3시간~3시간30분) 안골-갓바위-사패산-사패능선-범골능선-상상봉-석굴암-회룡사-회룡매표소-회룡역 25. 사패산코스 (←회룡역방향/ 지도24번 , 3시간30분~4시간) 회룡역-회룡매표소-회룡사-석굴암-범골능선-사패능선-사패산-갓바위-안골 26. 도봉산 코스 (←망월역방향/ 지도25번 , 1시간30분 내외) 망월사방향, 윈도봉탐방지원센터-덕재샘-망월사-자운봉-신선대 27. 도봉산 코스 (←도봉산역 방향/ 지도27번 , 1시간30분~2시간) 도봉탐방지원센터-금강암-도봉대피소-석굴암-신선대 28. 도봉산 코스 (←무수골 방향/ 지도28번 , 1시간30분 내외) 도봉역-무수골-자현암-원통사-우이암 28. 도봉산 코스 (우이동 방향/ 지도1번 , 1시간30분 내외) 우이암매표소-우이남능선-원통사-우이암 ☞주요 산행기점 대중교통편
▶ 우이동 기점 전철 4호선 수유역 하차. 6, 6-1, 8번 시내버스 이용, 종점 하차 ▶ 4.19탑 기점 전철 4호선 수유역 하차. 4.19탑행 마을버스 이용, 종점 하차. 84번 시내버스 이용 ▶ 정릉 기점 1, 3, 5-1, 16, 710번 이용, 종점 하차 ▶ 세검정 기점 136-1, 154번 시내버스 이용, 구기터널입구 하차 또는 지하철 1호선 종각역 하차, 종로1가에서 428번 이북5청행 버스 이용, 구기터널입구 파출소앞 하차 ▶ 불광동 기점 지하철 3호선 불광역 하차 ▶ 구파발 기점 진관사 코스 지하철 3호선 연신내역 하차, 진관사행 마을버스 이용 ▶ 구파발 기점 삼천사 코스 지하철 3호선 구파발역 하차, 156번 삼천리행 시내버스 이용 ▶ 구파발 기점 의상봉, 위문 코스 지하철 3호선 구파발역 하차, 156번 북한산성행 버스 이용 ▶ 북한산성입구/효자동/밤골/솔고개/송추유원지입구 기점 코스 세종문화회관앞/불광역2번출구에서 704번 송추행버스 혹은 불광동 시외버스정류장/구파발에서 의정부방향 버스
1코스
도봉 주릉코스(6시간 소요)
회룡골 매표소 – 회룡사 – 포대터 – 649봉 – 자운봉 – 오봉사거리 – 우이암 – 우이동 그린파크
2코스
망월사코스(7시간 30분 소요)
망월사역 – 매표소 – 원효사 – 망월사- 716봉- 자운봉 – 주봉 – 우이암- 원통사-보문산장- 삼거리
3코스
도봉동 1코스(6시간 소요)
도봉동매표소 – 도봉서원 – 갈림길 – 도봉산장 – 천축사 – 마당바위 – 정상(자운봉) – 우이암 – 보문산장 – 원통사 – 우이동 유원지
4코스
도봉동 2코스(3시간 30분 소요)
도봉동 – 도봉산장 – 자운봉 – 포대능선 안부 – 회룡사 – 회룡동
5코스
도봉동 3코스(3시간 30분 소요)
도봉동 – 도봉산장 – 자운봉 – 우이암 – 우이동
키워드에 대한 정보 북한산 등산 지하철역
다음은 Bing에서 북한산 등산 지하철역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맛있는 산] 도심 속 절경, 지하철타고 가는 국립공원 북한산
- 인천
- 인천투데이
- 인투티비
- 맛있는산
- 북한산
YouTube에서 북한산 등산 지하철역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맛있는 산] 도심 속 절경, 지하철타고 가는 국립공원 북한산 | 북한산 등산 지하철역,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